디자인 교육(2)
-
pxd 교육사업팀 이야기 2/2 - 사람이 하는 디자인씽킹
1편에서는 교육사업팀이 초기에 ‘초등학교 교사를 위한 디자인씽킹 B2C 교육’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어떤 과정을 거쳤는지에 대해서 디자인씽킹을 통해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방식을 기반하여 정리해 말씀드렸습니다. 2편에서는 이런 과정을 통해서 형성된 디자인씽킹을 원활하게 활용하기 위한 문화와 규칙을 다루고자 합니다. 1편: 팀이 하는 디자인씽킹 2편: 사람이 하는 디자인씽킹 프로젝트를 통해 학습한다. 나의 목표, 나의 역할 찾기 한 번의 iteration은 다음 번 iteration을 위한 준비입니다. 그리고 모든 iteration은 팀이 궁극적으로 하려는 계획의 연장선상에 있어야 합니다. 결과적으로 개개인은 팀 내에서 자신이 무엇을 하고 싶은지를 고민하게 되었습니다. 이 때 각각의 iteration 과정은 개..
-
pxd 교육사업팀 이야기 1/2 - 팀이 하는 디자인씽킹
2015년 1월 29일 디자인씽킹 워크샵, 교육사업팀에서 제작한 도구를 받아본 워크샵 참가자분이 '우와'하며 놀라워했습니다. 교육담당자 한 분은 여분의 도구를 살펴보다가 문구 하나를 손으로 짚으며 질문을 합니다. “pxd에 교육사업팀이 있었어요?” 제가 교육사업팀과 관련해서 글을 써봐야겠다고 결심한 순간입니다. 교육사업팀은 2014년 9월에 만들어져 2015년 1월까지 5개월동안 초등학교 교사, 교육, 디자인씽킹, 워크샵, 교구에 대해서 배우고 응용하는 기간을 가졌습니다(한 단계 매듭을 지은 시기를 1월로 보기 때문에 글에서는 이 때까지의 일만을 다루고자 합니다). 재미있게도 교육사업팀이 거쳐온 과정은 팀이 교육으로써 전달하고 싶었던 디자인씽킹과도 닮아있었습니다. 그렇기에 교육사업팀을 가장 잘 소개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