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xd story

pxd story

전체 글보기
  • pxd UX lab (1491)
    • UX 가벼운 이야기 (601)
    • GUI 가벼운 이야기 (153)
    • UX Engineer 이야기 (86)
    • AI 이야기 (11)
    • pxd AI툴 이야기 (8)
    • Blockchain UX 이야기 (71)
    • pxd talks (113)
    • Review | 컨퍼런스, 학회, 전시, 도서 (172)
    • pxd 다이어리 & 소소한 이야기 (201)
    • pxd 뉴스룸 (12)
    • Re-design! (33)
    • pxd 프로젝트 리뷰 (11)
    • inspiration movie (16)
    • (Private) 쓸거리 (0)
    • (Private) pxd idea (0)
  • 공지사항
  • 방명록
  • 태그
  • pxd Homepage
  • pxd Medium - Blockchain Story
  • pxd XE Group - FED
  • LeanUX Lab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글수정 관리

pxd story

컨텐츠 검색

태그

리뷰 서비스 디자인 pxd 디자인 사고 프로젝트 방법 전시와 작가 진로교육 조사 방법 미디어 퍼소나 컨퍼런스/세미나 해외교육 UX UI 국내교육 도서 pxd Talks Lean UX Persona 심리학 산책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2018 pxd story 포스트 모음
  • 2017 pxd story 포스트 모음
  • 2016 pxd story 포스트 모음

아카이브

UX(116)

  • 도전! AI와 한 팀 되기 #2 UI 디자인

    임현경 (Hyun Kyung Lim) ― 2024.11.22
  • 도전! AI와 한 팀 되기 #1 데스크 리서치

    임현경 (Hyun Kyung Lim) ― 2024.11.20
  • [물 건너온 UX] AI는 UX 라이터를 대체할 수 있을까?

    임현경 (Hyun Kyung Lim) ― 2024.09.24
  • 어피니티 버블: LLM을 이용한 정성조사 정리 도구

    無異 ― 2024.08.20
  • AI를 위한 UX 요소들

    Sungi Kim ― 2024.08.20
  • UX Researcher와 AI가 연구를 함께 진행할 수 있을까?

    윤장희 ― 2024.08.01
  • [웹3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 가스비(Gas Fees)

    최은주_UX Writer ― 2024.04.22
  • 신규 사용자의 입장에서 NILE 톺아보기

    chwww.kim ― 2024.03.18
  • Safari Focus

    taeyong.kim ― 2024.01.11
  • [웹3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 메인넷

    임현경 (Hyun Kyung Lim) ― 2023.12.07
  • [pxd talks] 그로스 해킹 TALK 2: pxd에게 묻다

    임현경 (Hyun Kyung Lim) ― 2023.11.02
  • GameFi를 처음 디자인 할 때 보이지 않았던 사용자 경험에 대해

    윤장희 ― 2023.09.18
도전! AI와 한 팀 되기 #2 UI 디자인

생성형 AI를 신입사원 삼아 함께 ‘반려동물 동반 가능 장소 검색 및 추천 서비스’를 모의 기획하고 있어요. 1편에서는 데스크 리서치로 기존 유사 서비스와 실제 사용자의 의견을 파악했는데요. 이번에는 서비스에 들어갈 주요 기능을 정리하고 IA(Information Architecture, 정보구조도)를 만들게요. 이를 시각화한 와이어프레임(Wireframe, 화면설계서)까지 그리면 완성입니다! 서비스 IA를 만들어보자  앞서 챗GPT(ChatGPT), ‘챗 사원’이 분석한 자료로 정리한 서비스 주요 기능은 크게 두 가지였어요.사용자 리뷰를 토대로 한 필수 기능 - 장소 위치 탐색, 커뮤니티, 예약기존 유사 서비스를 참고한 추가 기능 - 콘텐츠 큐레이션, 검색, 지도, 장소별 세부 정보이를 바탕으로 다시 ..

임현경 (Hyun Kyung Lim) 2024. 11. 22. 11:27
도전! AI와 한 팀 되기 #1 데스크 리서치

AI를 공부하면 할수록 실제로 사용해 보면서 이해도를 높여야 한다는 생각이 들어요. AI가 아무리 편하다고 하지만, 업무에 활용하려면 미리 연습이 필요하죠. 앞으로 능숙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AI와 함께 모의 서비스를 기획하기로 했어요. 지금부터 여러 서비스 기획자와 ‘신입사원 AI’가 한 팀을 이뤄 새로운 프로젝트를 진행할게요.우리의 첫 번째 목표는 기존 서비스 현황을 살피고 사용자의 불편을 개선할 수 있는 기능을 정리하는 거예요! 기존 서비스의 UI/UX를 알아보자프로젝트 주제는 ‘반려동물 동반 가능 장소 검색 및 추천 서비스' 개발로 정했어요. ‘반려 인구'가 1,500만 명에 달하는 시장 상황과 우리 팀원 모두가 반려동물을 기르고 있어 소비자 의견을 잘 알고 있다는 점을 고려했죠. 이제 주제에 맞..

임현경 (Hyun Kyung Lim) 2024. 11. 20. 07:00
[물 건너온 UX] AI는 UX 라이터를 대체할 수 있을까?

'언어장벽' 너머에서는 어떤 이야기를 나누고 있을까요? 더 많이 배워서 사고의 폭을 넓히고 싶은 마음을 언어의 한계 때문에 포기할 순 없죠. 다양한 언어, 문화권의 콘텐츠를 번역하는 '물 건너온 UX'와 함께, 전 세계를 탐험하며 틀 없이 자유로운 생각을 펼쳐봐요. AI 기술이 빠른 속도로 발전하면서 유통, 금융, 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 도입되고 있어요. 특히 생성형 AI는 인간 고유의 영역이라고 여겨지던 창작까지 해내면서 세상을 깜짝 놀라게 했죠. 간단한 메일부터 장편소설까지, 뭐든지 AI가 대신 써주는 세상에서 UX 라이팅은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까요? UX 라이터라는 직업은 AI에 밀려 이대로 사라지는 걸까요? 직업 정체성을 고민하는 모든 UX 라이터에게 팟캐스트 ‘Writers in Tech’..

임현경 (Hyun Kyung Lim) 2024. 9. 24. 07:50
어피니티 버블: LLM을 이용한 정성조사 정리 도구

디자인 회사 홈페이지를 보면 벽에 포스트잇을 빼곡히 붙여 놓은 사진을 많이 볼 수 있는데요. 디자인 과정의 상징처럼 포스트잇을 이용한 여러 정리 방법이 있지만 어피니티 다이어그램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Affinity Diagram(어피니티 다이어그램)은 관련 아이디어나 관찰을 묶어 구조화 하는 자료 정리의 기본 과정입니다. 사용자 조사를 통해 다양한 사용자 목소리를 얻었거나 문제 해결 단계에서 다양한 아이디어가 나왔을 때 우선 비슷한 것끼리 묶어가며 핵심 아이디어를 도출합니다. 이 방법의 핵심은 다양한 관점으로 아이디어를 묶어보는 것이기 때문에 여러 사람이 함께 볼 수 있도록 큰 보드에 붙였다 떼었다 하기 편한 포스트잇을 사용하는데요. 요즘은 미로나 피그마 같은 온라인 협업 툴을 이용해 작업 하기도..

無異 2024. 8. 20. 09:29
AI를 위한 UX 요소들

* 아래 예시 이미지들 중 일부는 Animated GIF라서 로딩 시간이 필요하거나 반복재생이 잘 안 될 수 있습니다.지난 글에서 'AI를 위한 UI 패턴'이라는 주제로 최근 AI를 활용하는 서비스들이 가지는 큰 구조의 UI 패턴들을 다뤘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AI를 활용한 서비스들에서 보이는 UX 요소들을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물론, UX적인 요소이기도 하지만 기술적인 부분과도 많은 부분 겹쳐져 있습니다. 더 넓게 살펴보고 세분화하면 훨씬 더 다양한 요소들을 정리할 수 있겠지만, 일단 제가 지금껏 학습하고 실제로 접한 서비스들을 기반으로 정리를 해보겠습니다.그리고 최근 많이 이야기되는 RAG, Agent와 같이 앞으로 기술적인 부분이 더 발전하고 새로운 방식이 추가될 수도 있고, 그렇다면 UX 관점에서..

Sungi Kim 2024. 8. 20. 07:50
UX Researcher와 AI가 연구를 함께 진행할 수 있을까?

최근 몇 년간 UX 리서치 분야에서 인공지능(AI)의 도입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습니다(출처). 과거에는 AI를 연구에 활용될 때 단순히 반복 작업을 자동화하거나 번거로운 업무를 줄여주는 역할에 그칠 것이라 예상했지만, 오늘날의 AI는 연구를 계획하고 진행하며 분석하는 과정 전반에 걸쳐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툴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에 대해서 여러 기대와 우려가 동시에 있지만 UX 리서치의 방법론과 범위를 크게 변화시키고 있습니다. 초기 AI 도구의 활용: 단순 작업 및 분석을 돕는 도구초기에는 AI가 연구 설계 과정에서 일부 질문을 작성하거나, 비교적 간단하고 구조화된 테스트(예: 사용성 테스트, A/B 테스트, 설문 조사)를 수행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또한, AI는 연구 로우 데이터를 분..

윤장희 2024. 8. 1. 07:50
[웹3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 가스비(Gas Fees)

“코인을 살 때 Gas fee(이하 가스비)를 내야 한다고 해서 그냥 냈는데, 가스비가 뭔지 잘 모르겠어요.” 가스비를 처음 접했을 때, 다들 이런 생각 해본 적 있을 거예요. 이번 시간에는 가스비가 무엇인지 알아보려고 해요. 가스비란? 가스비는 토큰을 교환하거나, 블록체인 기반의 서비스를 이용할 때 내는 수수료예요. 이용자의 모든 활동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이뤄지기 때문에 네트워크 사용료를 내는 거예요. 그리고 네트워크에서의 모든 활동은 데이터로 네트워크에 영원히 기록되는데요. 이 기록은 자동으로 이뤄지지 않아요. 채굴자 또는 검증자라고 불리는 참여자들이 일일이 이용자들의 활동 데이터를 처리하는 거죠. 이 때문에 가스비의 일부는 참여자들에게 보상으로도 주어져요. 즉, 가스비는 네트워크 사용료와 참여자..

최은주_UX Writer 2024. 4. 22. 07:50
신규 사용자의 입장에서 NILE 톺아보기

한 차례 꽃샘추위가 지나가고 날이 따스워지는 요즘입니다. 이제는 ‘시작'이라는 단어가 잘 어울리는 계절이 다가왔죠. 이에 맞춰, 이번 내돈내테에서는 리서처와 디자이너가 NILE을 돌아보고 앞으로 필요한 점을 발견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이번 내돈내테를 시작하며, 저희 팀원들이 블록체인 산업에서 눈여겨보고 있는 트렌드는 바로 ‘Mass-Adoption’인데요, 블록체인 산업에 신규 사용자들이 증가하며 NILE 또한 블록체인 기술이나 웹3 환경이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에게도 더 쉽고 친숙하게 다가가야 한다는 과제를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이번 NILE의 내돈내테에서는 또한 신규 사용자의 입장에서 직접 NILE의 NFT를 이해하고 구매하고 활용하는 과정을 함께하고 또 사용자의 의견을 들어보았습..

chwww.kim 2024. 3. 18. 07:50
Safari Focus

들어가며 얼마 전 사파리 브라우저에서 레이어 팝업 창을 닫을 때 바닥화면의 스크롤이 예상치 못하게 튕기는 현상을 발견하여 이게 무슨 일인가 싶어 원인 파악을 해봤습니다. 원인은 레이어 팝업이 닫힐 때 클릭했던 요소에 포커스를 옮겨주는 기능으로 인해 발행하였던 문제였는데요. 사파리 브라우저에서는 이 포커스가 클릭했던 요소가 아닌 부모의 요소에 포커스가 되고 있어 스크롤이 상단으로 튕겨지는 문제였는데요. 이 과정에서의 원인 파악과 문제를 해결한 내용에 대해 작성하였습니다. 포커스를 옮겨주는 기능이 꼭 필요한가? 우선 포커스를 클릭했던 요소에 옮겨주는 기능은 웹 접근성 및 사용자 경험 향상에 있어 중요한 요소입니다. 포커스를 옮겨줘야 하는 이유 또한 매우 명확하고 납득이 가능한데, 다음과 같습니다. 사용자 경..

taeyong.kim 2024. 1. 11. 09:35
[웹3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 메인넷

“OOO, 메인넷 출범!” 경제 관련 소식에서 꼭 이런 제목을 볼 수 있죠. 누군가 ‘메인넷(Mainnet)’이란 걸 세상에 내놨다는 사실은 알 수 있지만, 그게 가까운 일상부터 먼 미래까지 나의 삶에서 어떤 의미인지는 잘 와닿지 않아요. 메인넷은 대체 무엇일까요? 왜 여러 기업이 너도나도 비장하게 메인넷을 만드는 걸까요? 궁금증이 해소되지 않았던 여행자를 위해 메인넷 안내서를 준비했어요. 네트워크는 아는데, 메인넷은 모른다면 메인넷은 메인 네트워크의 준말로, 여기서의 네트워크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의미해요. P2P(Peer To Peer)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분산해 저장하는 기술이라는 건 DeFi 편에서도 잠깐 설명해드렸죠. 이 네트워크에선 일정 시간 단위로 저장된 데이터가 하나의 ‘블록’을 이루고..

임현경 (Hyun Kyung Lim) 2023. 12. 7. 07:50
[pxd talks] 그로스 해킹 TALK 2: pxd에게 묻다

pxd talks는 여러 분야의 연사님을 초빙해 인사이트를 나누는 시간입니다. pxd 구성원들이 더 넓은 시야로 무언가를 새롭게 발견하거나 자신을 성장시킬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도록 말이죠. 그리고 그 경험은 [pxd talks] 아티클로 기록합니다. pxd 구성원들이 함께 보고 듣고 느끼고 배운 것들이 사라지지 않고 pxd story에 남아 더 넓은 세상으로 뻗어갈 수 있기를 바랍니다. TALK1에서는 양승화 님과 그로스 해킹, 즉 ‘데이터와 실험을 통해 성장하는 서비스를 만드는 방법’을 알아봤어요. 이대로 pxd ‘talks’를 끝내기엔 아쉬우니 동료들과 이야기를 나눠봤죠. 다양한 직군의 목소리를 모으되, 좀 더 자유롭게 터놓고 얘기할 수 있도록 익명을 보장했어요. pxd 팀원들은 그로스 해킹에..

임현경 (Hyun Kyung Lim) 2023. 11. 2. 07:50
GameFi를 처음 디자인 할 때 보이지 않았던 사용자 경험에 대해

들어가며 위믹스 생태계의 다양한 프로젝트를 디자인하는 pxd의 구성원들이 자신들이 만든 서비스를 직접 사용자의 입장에서 사용해 보는 ‘내돈내테’의 두 번째 테스트는 위믹스 플레이 (WEMIX PLAY)입니다. 위믹스 플레이는 위믹스 블록체인 생태계 중 PnE(Play and Earn)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GameFi(Finance) 플랫폼입니다. 게임 플레이어들은 위믹스 플레이를 통해 게임을 하고 얻은 토큰 보상으로 Pool이나 Staking에 예치하여 추가적인 이익을 얻거나, 다른 토큰으로 교환을 하는 등의 GameFi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초기 위믹스 플레이 3.0 사이트 개발에 참여했던 분을 포함한 디자이너 3명과 UX리서처 1명, 그리고 위믹스 플레이를 처음 접해보는 블록체인 유경험자 1명을..

윤장희 2023. 9. 18. 07:00
1 2 3 4 ··· 10
pxd story pxd, inc. pxd 오시는 길 XE Group UX Tech Lab.
©2025 pxd, inc.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