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노선도(3)
-
정류장 맥락을 고려한 버스 노선도 리디자인 3/3 - 노선도 자동화 프로토타이핑
맥락 없는 디자인사용자와 사용 맥락을 이해하는 것은 UX뿐 아니라 모든 디자인에서 꼭 필요한 과정입니다. 정보를 시각화한 정보디자인의 경우 정보가 여러 겹으로 부호화되어 있어 글처럼 차례로 읽히지 않습니다. 정보 밀도가 높아 다양한 방식으로 읽힐 수 있는 건 좋지만, 사용 맥락에 따라 정보를 쉽게 찾아가도록 흐름을 만들어주어야 합니다. 네가 뭘 좋아할지 몰라서 다 넣어 보면 항상 실패합니다. 맥락을 모르고 이야기하는 사람과 대화하면 답답합니다. 그림1 - 개인이 현 위치 스티커를 붙여 놓은 현행 서울 버스 노선도일상에서 매일 만나는 정보디자인인 버스 정류장의 노선도는 이런 맥락 없는 디자인으로 우리를 피곤하게 합니다. 같은 버스 노선도라도 정류장에서 볼 때, 버스를 타고 가면서 볼 때, 인터넷으로 찾아볼..
-
정류장 맥락을 고려한 버스 노선도 디자인 2/3 –버스 노선도 Redesign 과정과 결론
버스 노선도 Redesign 과정과 결론이전 글에서는 해외의 사례들을 살펴봤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각 사례에서 적용 또는 참고할 수 있는 부분들을 활용하여 우리나라의 버스 노선도를 리디자인한 과정을 정리해봤습니다. 요즘에 버스 노선도를 보면 빨간 화살표 모양의 스티커를 종종 볼 수 있습니다. 놀랍게도 이는 담당 시청이 아닌 한 대학생 청년이 시작한 일이었는데요. 평소 버스 노선도에 현 위치와 방향 표시가 안 돼 있는 상황에 문제점을 느끼고 있었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직접 스티커를 붙이고 다녔습니다. 기존의 노선도는 해당 정류장을 이용하는 사람들을 고려하지 않고 다 같은 디자인, 즉 정류장 명만 줄줄 써있는 노선도를 사용해서 문제가 됐는데 어떻게 보면 이 학생이 이 정류장을 이용객들을 위한 정류장 맞춤 ..
-
정류장 맥락을 고려한 버스 노선도 디자인 1/3 – 해외 버스 노선도 사례와 특징
해외 버스 노선도 사례와 특징 이번 겨울 저는 pxd의 인턴으로서 입사하게 되었습니다. 인턴 생활을 하면서 버스 노선도 리디자인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되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이 프로젝트의 리서치부분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이 프로젝트는 얼마 전 새로운 지역에 갔다가 집에 오는 길에 버스를 타려고 정류장에 있는 버스 노선도를 보며 내가 타야될 버스를 찾으면서 시작되었습니다. 그런데 항상 느끼는 점이지만 버스 진행 방향이 헛갈리고, 현재 정류장이 어디인지조차 찾기 힘들 정도로 노선도를 보기가 어렵다는 걸 다시 한번 느끼게 되었습니다. 또한 비슷한 경로를 가진 버스를 찾기 위해선 노선도를 하나하나 다 읽어봐야 하고, 이를 비교해서 볼 수 없다는 것이 불편하여 결국 스마트폰으로 검색을 하게 되었습니다. 이는 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