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도착(2)
-
지도 기반의 버스 앱 리디자인
버스 도착을 확인하는데 기존의 즐겨찾기 목록이 제게는 적합하지 않아 불편했습니다. 그래서 버스 앱을 지도 기반으로 만들어 사용하고 있습니다. 맥락에 따른 버스 즐겨찾기 정보 디자인기존 버스 앱의 즐겨찾기 목록에는 출근 할때 집 앞에서 타는 버스, 갈아타는 버스, 퇴근 할때 회사 근처에서 타는 버스, 갈아타는 버스, 수영장 갔다 집에 오는 버스들이 섞여 있습니다. 각 상황에서 버스가 두 개 이상 있다보니 목록은 점점 길어집니다. 긴 목록을 스크롤 하면서 내가 지금 탈 버스를 찾다 보면 화가 납니다. 내가 탈 것도 아닌 잡음이 되는 버스 목록을 왜 보고 있어야 하지? 앱이 아닌 비서라고 생각하면 불친절하거나 센스 없는 거거든요. 폰은 지금 내가 어디 있는지, 몇 시인지를 알고 있으니 내가 어떤 버스를 타려는..
-
[정보디자인] 버스 도착, 노선 운행 정보
네이버, 다음의 버스 도착 안내의 현재 운행 버스 위치는 왜 오른쪽에 있을까요? 또 서울시와 경기도, t맵와 올레맵도 왜 다들 오른쪽에 있는 걸까요? 아래 그림을 보며 이유를 한번 생각해 보고나서 계속 글을 읽어주세요. 그림: 왼쪽 상단부터 서울버스앱,네이버지도,다음지도,서울시버스정보,경기도버스정보,올레맵,T맵 질문: 왜 버스 운행 정보는 목록의 오른쪽에 위치할까? 1. 버스 운행 정보를 표시하는 가장 최적의, 궁극의 디자인이라서 2. 서울버스 앱을 베껴서 거의 모든 모바일 버스 운행 정보 페이지들이 목록으로 왼쪽에 정류장 명을 정렬하여 보여주고 오른쪽에 노선도와 현 위치의 버스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서울버스 앱이 처음 나왔을때는 이렇게 목록과 그래픽을 섞은 정보디자인이 상당히 참신했습니다. 웹에서는 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