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조사(15)
-
글로벌 기업으로 거듭나기 위한 UX 현지화(localization) 전략 #2
글로벌 기업으로 거듭나기 위한 UX 현지화(localization) 전략은 총 3편의 시리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편 - 글로벌 기업으로 거듭나기 위한 UX 현지화(localization) 전략 #1 2편 - 글로벌 기업으로 거듭나기 위한 UX 현지화(localization) 전략 #2(현재글) 3편 - 글로벌 기업으로 거듭나기 위한 UX 현지화(localization) 전략 #3 1. 들어가며 기업에서는 하나의 서비스를 새로운 시장에 진출시키기 위해 현지화 작업을 수행합니다. 대부분은 텍스트를 대상 국가의 언어로 옮기기 위해 주의를 기울이지만, 대상 국가에서의 주요 행동 양식 등 문화적 기준까지 고려될 때 사용자가 거부감이나 어려움 없이 서비스에 적응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전 글에서 언급했..
-
글로벌 기업으로 거듭나기 위한 UX 현지화(localization) 전략 #1
글로벌 기업으로 거듭나기 위한 UX 현지화(localization) 전략은 총 3편의 시리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편 - 글로벌 기업으로 거듭나기 위한 UX 현지화(localization) 전략 #1(현재글) 2편 - 글로벌 기업으로 거듭나기 위한 UX 현지화(localization) 전략 #2 3편 - 글로벌 기업으로 거듭나기 위한 UX 현지화(localization) 전략 #3 1. 들어가며 ‘세계화'라는 말 자체가 무색할 정도로 우리는 어느 때보다 전 세계에 연결되고 있습니다. 이는 디지털 플랫폼과 빠른 통신망 기술 발달에 기인하는데요. 우리가 사용하는 SNS, 스트리밍, 쇼핑 서비스를 생각해보면 국내 서비스 뿐 아니라 해외 서비스도 활발하게 사용하고 있지요. 한번의 클릭이면 전세계의 서비스에 접..
-
코로나19 시대의 글로벌 유저 리서치
* 이 글은 UXalliance가 발행한 Global Research in a COVID-19 world 글을 번역한 것입니다. 들어가며 코로나19로 인한 팬더믹으로 인해 전 세계는 불필요한 여행을 금지하고 사회적 거리 두기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피엑스디와 같이 사용자 조사를 하는 조직에서도 시의적절한 조치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개인과의 상호 작용과 의사소통은 사용자 조사의 핵심입니다. 그런데 지금과 같이 사용자를 직접 만날 수 없는 경우에는 어떤 방식으로 조사를 해야 할까요? UXalliance는 글로벌 UX 리서치 연합으로서 코로나19가 확산됨에 따른 새로운 경험을 지속해서 공유하고 학습해 왔습니다. 그 과정에서 얻은 몇 가지 연구 팁을 공유합니다. Tip 1: 여러 가지 선택지를 고민해..
-
넷플릭스 - 앱스트랙트 '이안 스폴터'편을 보고
'앱스트랙트'는 넷플릭스에서 만든 디자인 다큐멘터리이다. 전 세계적으로 유명한 다방면의 디자이너를 인터뷰하고 그걸 한 시간 내외의 감각적인 영상으로 편집해서 만들었다. 시즌 1도 재밌게 봤었는데, 최근에 시즌 2가 나왔다는 소식을 들었다. 시즌 2의 경우 일단 보고 싶은 회차인 '이안 스폴터' 편을 선택해서 봤다. 시즌 1, 2 통틀어서 IT 관련 직종은 처음이다. 이안 스폴터(Ian Spalter)는 인스타그램 디자인팀의 총괄 디자이너이다. 아시다시피 인스타그램은 전 세계적으로 유명한 사진 중심 SNS이다. 이안 스폴터는 인스타그램이 생긴 배경을 설명하기 전에, 우선 아이폰의 등장을 언급한다. 아이폰 1세대는 2007년에 출시되었다. 이때 스티브 잡스의 컨퍼런스 연설은 유명하다. 아이폰을 단순히 핸드폰..
-
이해관계자 마음속 사용자 드러내기
"사용자 입장에서 이건 좀 불친절하게 느껴질 것 같아요" "사용자가 기대한 건 이게 아니라고!" "VOC(Voice of Customer)로 접수된 사항이에요, 이거 꼭 반영되어야 해요" "처음엔 어렵겠지만 한두 번 써보면 익숙해질걸요?" "어떤 (미친) 사용자가 여기서 확인 버튼을 마구 누르면 어떻게 되는 거야?" 디자인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해본 경험이 있으신가요? 위와 같은 논의의 경험이 한 번쯤은 있으실 것입니다. 분명히 사용자 또는 고객 입장에서의 디자인 결정을 위한 대화입니다. 그런데 위의 대화 참여자들이 말하고 있는 '사용자(고객)'들은 같은 사람일까요? (잠시 생각해 보시기 바랍니다...) 위의 대화에서는 '사용자가 누구인지, 같은 사람인지 아닌지' 보다는 '요구사항이 무엇인지'에 더 집중하..
-
사용자의 행동 패턴 발견하기
사용자를 관찰하고 인터뷰하는 이유는 사용자의 문제에 공감하고 이해하기 위해서입니다. 그리고 디자인 과정에서 집중해야 할 문제를 정의하고 해결 방향을 도출하기 위해서입니다. 이 과정에서 우리는 '행동 패턴'이라는 말을 자주 하게 됩니다. 사용자 조사의 목적으로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발견하고 이해하기, 이로부터 인사이트를 얻기'라고 명시하는 경우가 매우 많습니다. 처음에는 당연하고 쉽게 생각을 했다가, 고민을 하면 할수록 '행동 패턴'이라는 용어가 낯설고 어렵게 느껴질 때가 있습니다. 행동 패턴이란 무엇이고 왜 중요하며, 어떻게 발견해야 하는 것일까요? 행동 패턴이란 무엇인가? 우선 '패턴(pattern)'이라는 말을 이해해야 합니다. 위키피디아에서는 패턴이란 '예측 가능한 방식으로 반복되는 요소를 지닌 ..
-
사용자 데이터, 포스트잇!으로 정리하기
벽면 가득히 포스트잇을 붙여가며 토론하고 작업하는 모습은 UX 디자인 과정에서 아주 익숙한 풍경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쉽지만 어려운 포스트잇! 활용'에 대해 이야기하려고 합니다. 물론 포스트잇은 특별한 사용법이나 활용법이 따로 있는 툴이 아닙니다. 단순함이 가장 강력한 장점인 포스트잇에 그런 게 있을 리가 없습니다. 그렇지만 사용자 조사 후 포스트잇을 활용하여 정리할 때, 특히 사용자의 목소리로부터 인사이트를 도출하고자 할 때 알아두면 유용한 몇 가지 팁들을 정리했습니다. 사전 준비 : 사용자 데이터 확보하기 우선 사용자 조사 데이터를 확보해야 합니다. 직접 진행한 인터뷰나 관찰에 의해 얻어진 것이 가장 좋습니다. 직접 조사한 데이터가 없더라도 다른 기관이 조사한 자료나 설문에 의한 사용자의 답변, V..
-
해외 사용자 조사 도전기 1편. 조사 계획 세우기
1. 들어가며작년 여름 미국 사용자 조사 프로젝트에 참여했습니다.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고민하고 배운 점을 나누려 합니다. 해외 사용자 조사 역시 같은 사용자 리서치고, 대상이 해외에 사는 사람일 따름인데요. 국내 사용자 조사와 다른 점이 있다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든다는 점, 언어와 문화의 장벽이 있다는 점 같습니다. 2. 해외 조사를 하는 목적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을 타깃으로 하면서 해외 사용자 조사 프로젝트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국내 기업이 해외 사용자를 조사하는 것뿐 아니라, 외국 기업이 국내 사용자를 조사하는 일도 많습니다. 크게는 두 가지 목적에서 조사를 수행하는 것 같습니다. 하나는 신제품을 위한 시장 탐색 목적입니다. 역사적, 문화적 배경이 다르기 때문에 사람들이 생각하고 행동하는 방식도 다릅..
-
[독후감] 새로운 디자인 도구들
시작하며인사이트에서 새로운 책이 나왔다는 소식을 Facebook으로 듣고, 이 책을 접하게 되었다. 이 책은 싱가포르 국립대학교에서 서비스디자인과 경험 디자인을 가르치고 계신 이정주 님과 핀란드 알토 대학교에서 박사과정을 밟고 계신 이승호 님이 쓰신 책이다. 그리고 해당 책의 목차와 미리 볼 수 있는 링크를 보고 해당 책에 대해서 호기심이 생기게 되었다. 결론적으로 이 책은 UX를 업으로 삼고 있는 사람이라면 신입, 경력 상관없이 무조건 읽어야 할 책이라고 생각한다. 한 가지 재미있는 사실은 이 책을 읽는 독자의 유형을 퍼소나의 형태로 만들었다는 점이다. 단순히 표면적 퍼소나를 만든것이 아니라, 실제 잠재적 독자를 인터뷰하고, 어피니티 화 시킨 뒤 퍼소나를 제대로 제작했다는 점이 인상 깊었다. '프로브(..
-
[국내교육] 고객의 영웅이 된다는 것은 무엇일까?
-
구글은 왜 인도만을 위한 앱을 만들까?
구글은 전 세계를 위한 앱을 만든다. 한 나라에서만 적용되는 앱을 만드는 경우는 드물다. 구글이 한국만을 위한 앱을 만들었다는 얘기도 들어본 적이 없지만, 미국만을 위한 앱도 잘 기억이 나지 않는다. 그런 구글이 인도만을 위한 앱을 만들고 있다. 왜 그럴까?이유를 생각하기 전에 우선 구글이 인도 만을 위해 어떤 앱들을 내놓고 있는지 정리해 본다. 안드로이드 Go 에디션 최근 구글은 안드로이드 Go 에디션을 발표했다. (2017.12) 물론 Go 에디션은 인도 만을 위한 것은 아니지만 상당 부분 인도 사용자들로부터 영감을 얻었다.Introducing Android Oreo (Go edition) with the release of Android 8.1안드로이드 8.1 오레오 버전의 Go 에디션은 저가형 스..
-
죽음의 경험 디자인
Zen Hospice Project 이번 글에서는 죽음의 경험을 디자인한 사례들을 소개합니다. 2017년 3월 그린위치 대학교(University of Greenwich)에서 열린 “죽음을 디자인하다: 21세기에 풀어야 할 과제와 미학 (Designing Death: Challenges and Aesthetics for the 21st Century)” 세미나에 참가한 경험과 참고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했습니다. 들어가면서 죽음을 디자인한다는 건 무슨 의미일까요? 죽음을 기다리는 시간, 임종하는 시간, 장례식을 각자의 바람대로 경험할 수 있게 하는 것입니다. 기존의 관습을 새로운 눈으로 재해석하는 것입니다. 넓게 보자면 호스피스나 장례 이후의 애도도 포함합니다. 내가 원하는 장례식 우리의 장례문화는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