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성 UX(4)
-
VUX in car 2편 - 기존의 자동차 음성 명령과 자동차 x AI 스피커의 차이점
올해 하반기 출시된 제네시스 G70에 카카오 I가 장착되어 집에서 사용하던 AI 스피커를 자동차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모터쇼에서 NUGU, Giga Genie를 결합한 컨셉 자동차를 발표했으니 곧 기아, 현대 자동차에서도 AI 스피커를 사용할 수 있을 텐데요. 유투브에서 NUGU mini나 Amazon dot과 같이 서브 라인으로 출시한 AI 스피커를 자동차에서 시연하는 영상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는걸 보면 자동차와 AI 스피커의 결합은 이미 스마트 스피커가 나타날 때부터 시간문제였던 것 같습니다. 자동차에서 AI 스피커를 이용해 음악을 재생하거나 뉴스를 듣는 행동은, 이미 사용하고 있는 음성 인식 기능과 크게 다르지 않아 보이기 때문에 AI 스피커가 힘들게 장착해서 쓸 만큼 유용한 것인지..
-
VUX in car 1편 - VUX, 멀티태스킹, 그리고 커넥티드 카
음성 UX에 적합한 시나리오는 무엇일까 최근 음성인식 솔루션의 춘추전국시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다양한 서비스가 쏟아져 나오고 있습니다. 2011년 애플이 아이폰 4S와 함께 시리를 발표한 이후 음성 비서에 대한 인식이 대중적으로 자리 잡게 되었는데요. 이후 아마존의 Alexa, 국내에서는 SKT의 NUGU를 필두로 물리적인 형태를 갖춘 스마트스피커 시장이 활발해지면서 음성 비서에 대한 서비스 제공자들의 고민이 더욱 다양해지는 것 같습니다. 스마트스피커 시장에서는 아마존의 경우 커머스, 라인의 경우 정보검색 및 캐릭터(?) 등 각 기업이 보유한 특화 서비스를 강조한 제품을 선보이고 있으나, 아직 이전 대비 음성 UX의 경험을 차별화한 서비스는 없다고 느껴집니다. 저는 회사에서 음성 UX와 관련된 ..
-
AI 스피커의 VUX 설계 시 고려할 것들
Google Home 들어가며 인공지능의 빽에 힘입어 음성비서를 탑재한 다양한 디바이스들이 쏟아지는 상황에서 회사에서도 눈에 띄게 음성 인터랙션을 설계하는 프로젝트가 많아지고 있다. 시간은 조금 흘렀지만(인간은 망각의 동물..) 인공지능 스피커의 VUX를 설계하면서 기획자로서 고민했던 부분을 간단하게나마 공유하려고 한다. 음성비서는 어떤 상황에서 유용할까/자연스러울까? 최근 어느 교수님의 인상 깊었던 말이 있다. 우리가 새로운 형태의 디바이스를 만들 때는 그것이 기존에 존재하는 강력한 도구들(스마트폰 등)보다 편한 점이 무엇인지, 굳이 필요한 이유가 무엇일지 생각해보고 거기서 뚜렷하게 답이 나오지 않는다면 설계를 다시 해야 한다는 것이다. 당연한 말 같지만, 우리는 종종 새로운 디바이스가 담고 있는 형태..
-
인풋 방식으로서의 버튼 vs 음성
개인적으로 음성인식 서비스를 처음 접했던 채널은 모바일이었다. 그래서인지 새로운 영역이라기보다는 모바일 화면설계의 범위가 확장된 정도의 수준으로 이해했던 것 같다. 이후 음성인식 서비스만을 위한 하드웨어가 처음 등장하고 이를 사용해보면서 본격적으로 "음성"이 제공하는 사용자 경험에 대해 고민해보게 되었다. 특히 음성인식 서비스를 기획하면서 기존의 화면기획 업무와 비교하며 이해하게 되었고, 더 나아가 음성 UX에 대한 여러 관점과 생각들을 정리해볼 수 있었다. 이 글은 그 첫 순서로, 인풋 방식으로서의 '버튼'과 '음성'을 비교한 것이다. (사실 정확한 비교대상은 '터치'와 '음성'이지만 효율적인 전달을 위해 '터치'를 '버튼'으로 적었다.) 1. 인풋과 아웃풋이 다른 버튼 vs 인풋과 아웃풋이 동일한 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