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9)
-
[블록체인 트렌드 2024] AA, AI, TBA, MiCA
눈 깜짝할 새 기술이 발전하고 숨 가쁘게 변화하는 블록체인 세상에서, 정보는 소중한 재산이에요. '앎'으로써 앞을 내다보는 일은 위기에 대응하고 새로운 기회를 놓치지 않게 하는 힘이 되죠. 2024년에는 어떤 새로운 변화가 펼쳐질까요? 올해의 블록체인 트렌드를 두 편에 걸쳐 소개할게요. AA(Account Abstraction) 나날이 진화하는 블록체인 지갑, 그 중심에는 AA(Account Abstraction, 계정추상화)가 있어요. ‘추상화’는 복잡하고 다층적인 구조를 단순화해 핵심만 남기는 것을 말해요. AA는 블록체인에서 어렵고 번거로운 절차를 걷어내고 ‘계정’이라는 본질에 집중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이죠. AA의 쓰임새는 무궁무진해요. 지갑 최대 송금액을 정해 거액이 도난당하는 일을 방지하고, ..
-
[BC.0x00] ‘나’를 표현하는 방법
블록체인은 관련 주체들과 사회적이고 기술적인 환경이 상호작용하며 하나의 생태계를 이루고 있습니다.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는 우리는 모두 블록체인 생태계의 일부지만, 그 전반을 알기란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블록체인 연대기(the Blockchain Chronicle)]는 블록체인 생태계에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살펴보고 또 기록합니다. 차곡차곡 쌓아나간 블록체인 생태계의 오늘이 내일을 향한 어제의 기억이 될 수 있도록 말이죠. 블록체인 생태계의 중심에는 지갑 주소가 있습니다. 영문자와 숫자로 이뤄진 여러 가지 코드의 조합이죠. 이용자는 지갑 주소를 통해 암호화폐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암호화폐 관련 명세는 블록체인 생태계에 있는 누구나 볼 수 있도록 기록되는데, 이 또한 지갑 주소를 기준으로 합니다..
-
스팀펑크아트 展
장소: 예술의 전당 한가람디자인미술관 기간: 2014년 3월 8일 ~ 5월 18일 시간 : 오전 11시-오후 8시 (관람종료 50분 전 입장마감) 홈페이지 : http://www.artcenterida.com/?sd=3&sc=3_1 첫발 한국의 대중에게 '스팀펑크'라는 쟝르는 용어부터 생소하다. 하지만 알려진 몇 개의 영화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아~ 그게 스팀펑크였구나~” 하며 친숙하게 느끼는 장르이기도 하다. 이 문화예술사조를 소개하는 전시회가 지난 3월 8일부터 예술의 전당 한가람디자인미술관에서 열리고 있는데 한국의 대중에게 이 장르를 소개하는 첫 번째 전시라는 것에 의미가 크다고 생각한다. 스팀펑크에 대해서는 전시회 홈페이지 브로셔과 pxd블로그의 스팀펑크에 관한 글을 참고하시라. 과거에 대한 회..
-
스팀펑크(Steampunk)란?
본 내용은 위키피디아의 내용 일부를 토대로 작성되었다. 정의 '증기 기관 시대를 연상시키는 아날로그적 첨단 기계 양식' 1980년대 SF소설의 한 쟝르로서, 기계 미학의 시대 표현 양식이다. 19세기 영국 빅토리아 산업 혁명 시대의 증기 기관 동력을 이용한 기계나 그 시대의 복식과 도구들이, 미래 또는 알 수 없는 연대의 환경으로 등장하는 양식이다. 증기 기관 시대의 메카니즘과 생활 스타일이 (전기, 전자, 디지털 시대로 넘어오지 않고) 현재나 미래에까지 고도로 발달한 상황을 가정한 양식이다. 주로 판타지 세계를 그린 영화, 애니메이션, 게임에서 많이 차용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아트, 패션, 디자인, 음악 분야에서도 응용하고 있다. [관련 참고 용어] Cyberpunk 사이버펑크 - 1980년대에 만들어진..
-
[Web Design Trend] Parallax Scrolling
본 내용은 위키피디아의 내용 일부를 토대로 작성되었습니다. 1. 정의 Parallax Scrolling : 모니터상에서 화면이 (상하좌우)스크롤될 때, 배경 이미지들과 오브젝트 이미지들간 시차가 발생하여 스크롤되도록 하는 기법. Parallax : 시차, 관찰 위치에 의한 대상물의 변위 [관련 참고 용어] Belt Scrolling 화면상의 특정 오브젝트를 조작하여 그 오브젝트 움직임의 양과 방향에 따라 화면이 스크롤되도록 하는 기법. 게이머의 컨트롤에 의해 주인공 캐릭터(오브젝트)가 상하좌우 돌아다니면 그 방향의 새로운 배경과 오브젝트들이 스크롤되어 나타나 주어진 임무를 수행하는 아케이드게임에서 많이 사용하는 방식이다. 플래쉬 사이트에서 사용자가 조작하는 마우스 포인터의 움직임에 따라 화면이 스크롤되어..
-
스큐어모피즘(Skeuomorphism)이란?
스큐어모피즘에 대한 이야기는 이미 pxd블로그(http://story.pxd.co.kr/577)에서 다룬 바 있다. 본 내용은 위키피디아(http://en.wikipedia.org/wiki/Skeuomorph)의 내용을 기반으로 인터넷에 흩어진 기사들을 참고하여 필자의 의견을 덧붙인 글이다. 1. 용어 정의 : Skeuomorphism(스큐어모피즘) 또는 Skeuomorph(스큐어모프) 그리스어로 Skeuos는 Vessel(용기) or Tool(도구), morphe는 Shape(형태)을 의미한다. '어떤 도구의 형태,형식'이라는 뜻으로 '스큐어모피즘'을 의역해 보면 '원래 도구의 형태를 그대로 따라가는 양식' 정도의 풀이가 가능하겠다. 쓰임새 또는 재료에 따라 자연스럽게 발전한 도구의 형태와 요소들이, ..
-
GUI Design Trend Forcasting - Steampunk
디지털기기의 홍수, Apple발 미니멀리즘 강세 속에서 사람들은 아날로그향취와 사람손때의 애틋함을 점점더 느끼게 된 것 같습니다. 이런 분위기에서는 뭐든 나무로 만들면 사람들의 관심을 받을 수 있죠. :) 이미지출처 : Wood Block Clock (www.geekologie.com), Wood Keyboard (www.aving.net) 또, 사람들은 전자음의 디지털기기보다는 섬세한 수공기계의 매커니즘에서 장인정신을 느끼고 열광합니다. 디지털시대의 이러한 감성은 많은 분야에 영향을 줄 것이라 생각합니다. GUI분야도 마찬가지일 것이고요. 이런 감성을 만족시킬 만한 것이 있다면 그것이 다음 트렌드일 것입니다. 음.. 우선, '트렌드(Trend - 경향, 추세, 대세, 유행)'에 대해 먼저 얘길 해야겠군..
-
[Web Design Trend] 다양한 디바이스 환경에 반응하는 Responsive Web Design-반응형 웹디자인
PC모니터해상도는 점점 커지고 있고, 모바일Device의 해상도 또한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급변하는 환경에서 새로운 Device가 출현할 때마다 해상도Porting작업을 해야 한다면 비효율이겠죠. 지금 이 시간에도 '모바일버전 제작', 'PC버전 제작', 'N-Screen지원' 을 얘기하며 머리를 싸매고 있을 분들이 많을텐데 Responsive Web Design이 그 비효율을 줄일 묘안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게다가 굉장히 적절해 보입니다. Responsive Web Design은 HTML파일 한 벌로 PC모니터, 태블릿PC, 모바일Device, TV 등의 다양한 스크린해상도에 대해 각각 최적화된 레이아웃과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웹디자인기법으로서 이러한 웹사이트들이 속속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적용 사이..
-
“Apple처럼 oooo하게 해 주세요”
어플리케이션 GUI 디자인을 의뢰하는 클라이언트들로부터 한동안 들어야 했던 말은 “iTunes 처럼 oooo하게 해 주세요” 였습니다.. oooo은 다양한 표현들이었지만 어쨌든 ‘iTunes처럼’ 으로 시작하는 요구 사항들이었죠. 이후 모바일 프로젝트에서는 “iPhone처럼(보다) oooo하게 해 주세요” 라는 말을 가장 많이 들은 것 같습니다. 이렇게 관용구처럼 쓰이게 된 데에는 애플의 뭔가가 많은 사람들을 감동시켰기 때문일 겁니다. 자타공인 최고라 할 수 있는 Apple사의 제품 디자인, GUI 디자인에 대해 짚어 보고 싶었습니다. 삼성, LG 같은 가전 제품 회사가 100가지 메뉴를 골고루 갖춘 식당이라면 Apple은 전문 메뉴를 가진 식당에 비유할 수 있겠습니다. 이 점이 제품의 일관된 이미지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