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ckchain(13)
-
[웹3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 스테이블코인(Stablecoin)
웹3 생태계는 이용자들의 참여와 그에 따른 보상이 선순환하며 성장하는 매력적인 공간이에요. 이곳에서의 참여와 보상은 암호화폐로 이뤄지는데요. 웹3를 처음 접하면 여러 암호화폐 중 어떤 것을 써야 할지 고민이 될 수 있어요. 이런 분들에게 가치 변동성이 적어 비교적 접근하기 쉬운 Stablecoin(이하 스테이블코인)을 소개해요.스테이블코인이란?스테이블코인은 그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안정성을 추구하는 암호화폐예요. 코인의 가치를 달러나 유로 같은 법정 화폐 또는 금, 부동산 같은 실물 자산의 가치에 연동해서 변동성을 최소화해요. 여기서 ‘연동’은 스테이블코인 발행량에 상응하는 만큼의 자산이 준비돼 있다는 의미예요. 암호화폐의 투명성과 접근성 등의 장점을 유지하면서 법정 화폐, 금 같은 자산의 안정적인 ..
-
[웹3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 가스비(Gas Fees)
“코인을 살 때 Gas fee(이하 가스비)를 내야 한다고 해서 그냥 냈는데, 가스비가 뭔지 잘 모르겠어요.” 가스비를 처음 접했을 때, 다들 이런 생각 해본 적 있을 거예요. 이번 시간에는 가스비가 무엇인지 알아보려고 해요. 가스비란? 가스비는 토큰을 교환하거나, 블록체인 기반의 서비스를 이용할 때 내는 수수료예요. 이용자의 모든 활동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이뤄지기 때문에 네트워크 사용료를 내는 거예요. 그리고 네트워크에서의 모든 활동은 데이터로 네트워크에 영원히 기록되는데요. 이 기록은 자동으로 이뤄지지 않아요. 채굴자 또는 검증자라고 불리는 참여자들이 일일이 이용자들의 활동 데이터를 처리하는 거죠. 이 때문에 가스비의 일부는 참여자들에게 보상으로도 주어져요. 즉, 가스비는 네트워크 사용료와 참여자..
-
[웹3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 메인넷
“OOO, 메인넷 출범!” 경제 관련 소식에서 꼭 이런 제목을 볼 수 있죠. 누군가 ‘메인넷(Mainnet)’이란 걸 세상에 내놨다는 사실은 알 수 있지만, 그게 가까운 일상부터 먼 미래까지 나의 삶에서 어떤 의미인지는 잘 와닿지 않아요. 메인넷은 대체 무엇일까요? 왜 여러 기업이 너도나도 비장하게 메인넷을 만드는 걸까요? 궁금증이 해소되지 않았던 여행자를 위해 메인넷 안내서를 준비했어요. 네트워크는 아는데, 메인넷은 모른다면 메인넷은 메인 네트워크의 준말로, 여기서의 네트워크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의미해요. P2P(Peer To Peer)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분산해 저장하는 기술이라는 건 DeFi 편에서도 잠깐 설명해드렸죠. 이 네트워크에선 일정 시간 단위로 저장된 데이터가 하나의 ‘블록’을 이루고..
-
[pxd talks] WEB3 시대에서 정체성 표현과 소통의 방식이 어떻게 ‘통합’되고 있을까?
pxd talks는 여러 분야의 연사님을 초빙해 인사이트를 나누는 시간입니다. pxd 구성원들이 더 넓은 시야로 무언가를 새롭게 발견하거나 자신을 성장시킬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도록 말이죠. 그리고 그 경험은 [pxd talks] 아티클로 기록합니다. pxd 구성원들이 함께 보고 듣고 느끼고 배운 것들이 사라지지 않고 pxd story에 남아 더 넓은 세상으로 뻗어갈 수 있기를 바랍니다. 들어가며, 지난 5월 pxd에서는 WEB3 영역의 새로운 흐름을 주제로 pxd talks를 진행하였습니다. 특히, Web3의 코어, 게임, 디파이 그리고 라이프를 주제로 이전과 달리 어떤 변화들이 일어나고 있는지 알아보았는데요. 본 글에서는 pxd talks의 강연 내용 중에서도 분산화를 통해 우리가 경험하는 정체..
-
블록체인과 엔터테인먼트-음악 산업에 다가올 변화 미리보기
들어가며 최근 뉴스나 산업 분석 리포트에서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하는 산업이 늘고 있다는 소식을 심심찮게 접할 수 있는데요. 엔터테인먼트 산업 또한 예외가 아닙니다. 이번 글에서는 엔터테인먼트 산업 가운데 음악 산업에서의 블록체인 기술 적용 동향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음악 산업에 블록체인 기술이 적용되는 배경 사례를 살펴보기 전에 음악 산업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음악 산업은 레이블, 저작권협회, 기획사 등 여러 이해관계자가 제작부터 유통, 팬과의 관계 형성 및 상호 작용에 관여해 계약을 맺습니다. 이해관계자가 많으면 많을수록 아티스트에게 지급되는 음반 판매 및 음원 재생 로열티 비율이 낮아지는 구조이죠. 이 때문에 극소수를 제외한 대부분의 아티스트는 수익 배분, 음원 소유권 등과 관련해 불공정한 ..
-
NFT 프로퍼티를 설계하며 생각해 본 것 #2: 스포츠 NFT의 프로퍼티
NFT는 아직 출시 전이지만 어떤 내용인지 궁금하신 분은 위믹스 챔피언십을 확인해 보세요. 😉 Golf NFT 스포츠 NFT 중에서도 골프 NFT를 만들고 있습니다. 2023년 KLPGA 투어는 총 30회 대회가 진행되고 한 선수가 보통 20회 내외의 대회에 참가합니다. 참가한 대회에서 얻은 포인트를 합산하여 투어가 끝난 후 상위 60인에게 상금으로 NFT를 지급하는 새로운 형태의 NFT입니다. 일반 고객에게는 선수가 받는 상금이 똑같이 담긴 1위 - 60위까지 NFT가 1개씩 더 판매됩니다. 대회가 모두 끝나는 11월에 각 순위에 매칭되는 선수들로 NFT는 다시 한번 업데이트됩니다. 이전 글에서 프로퍼티는 희귀성을 보여주고, NFT에 대한 진심을 보여준다고 했었던 것 기억하시나요? 1위에서 60위까지 ..
-
NFT 프로퍼티를 설계하며 생각해 본 것 #1: 사용자는 프로퍼티를 어떻게 사용할까?
요즘 스포츠 NFT의 프로퍼티를 설계하고 있습니다. 이전까지 프로퍼티는 NFT를 구성하는 요소라고 막연하게만 이해하고 있었는데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프로퍼티에 대해 좀 더 알게 된 점을 공유합니다. (*NFT의 종류는 PFP, 아트, 메타버스, 유틸리티 등이 있지만 본 블로그에서 다루는 프로퍼티는 기능이나 혜택을 제외한 NFT로 한정했습니다.) NFT는 아직 출시 전이지만 어떤 내용인지 궁금하신 분은 위믹스 챔피언십 사이트를 확인해 보세요. 😉 NFT 프로퍼티란? Traits와 유사한 용어로도 쓰이는 NFT 프로퍼티는 NFT의 카테고리, 특성을 설명하는 요소입니다. NFT 프로퍼티는 NFT를 설명하기 위함과 동시에 수많은 NFT와 구별되기 위해 존재합니다. 여러분이 자신을 소개할 때 “저는 UX 디자이너..
-
블록체인 기반의 포인트 통합⬝교환 서비스
들어가며 블록체인 기술이 기업의 포인트 프로그램에도 변화를 주고 있습니다. 기존 포인트들을 통합하거나 서로 교환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새로운 서비스가 운영되는 중이죠. 이번 글에서는 블록체인에서 시도되고 있는 통합⬝교환 서비스의 사례와 핵심 요소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토큰을 통해 다른 포인트로 교환 첫 번째는 현시점에서 블록체인 기반 포인트 통합⬝교환 서비스의 대표 주자로 꼽히는 라이프 스타일 리워드 플랫폼 MiL.K(밀크)입니다. 야놀자를 비롯해 메가박스, CU, L.Point 등 실생활에 유용한 포인트를 지원해 사용자가 가장 많죠. 사용자는 제휴사 포인트를 MLK 토큰으로 교환한 뒤 다른 제휴사 포인트로 바꿀 수 있습니다. 영화관 포인트를 편의점에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죠. DeFi의 스왑(S..
-
[WEMIX PLAY] Fan Token이 제시하는 새로운 팬덤 경제학
WEMIX PLAY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글로벌 P&E(Play & Earn) 플랫폼입니다. 게임 안에서만 일어났던 일들을 게임 밖으로 확장시키며 독자적인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죠. 게임 속 자산을 또 다른 게임에 투자할 수도, NFT를 구매할 수도 있습니다. 또 어떤 것들이 가능한지 궁금하지 않나요? 새로운 모습으로 찾아올 WEMIX PLAY의 요모조모를 미리 살펴봅니다. 알면 알수록 더 재미있게 즐길 수 있을 테니까요. 팬 활동은 정신적 만족을 줍니다. 크리에이터의 성장을 지켜보는 보람, 크리에이터의 창작물을 통해 얻는 행복감, 크리에이터 또는 팬덤과 소통하며 느낄 수 있는 유대감 등이 팬의 일상을 즐겁게 만들죠. “‘팬질’이 밥 먹여주나?” 그러나 팬 활동에 몰두해본 경험이 있는 사람이라면 한 번..
-
[WEMIX PLAY] INSERT COIN to Play GameFi!
WEMIX PLAY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글로벌 P&E(Play & Earn) 플랫폼입니다. 게임 안에서만 일어났던 일들을 게임 밖으로 확장시키며 독자적인 블록체인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죠. 게임 속 자산을 또 다른 게임에 투자할 수도, NFT를 거래할 수도 있습니다. 또 어떤 것들이 가능한지 궁금하지 않나요? 새로운 모습으로 찾아올 WEMIX PLAY의 요모조모를 미리 살펴봅니다. 알면 알수록 더 재미있게 즐길 수 있을 테니까요. GameFi는 게임(Game)과 DeFi(Decentralized Finance, 탈중앙화된 금융)를 합친 개념입니다. DeFi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금융 서비스를 가리키는데요. GameFi는 게임을 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축적되는 게임 내 자산으로 다양한 DeFi를 이용..
-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브랜드 사이트는 어떤 이야기를 하고 있을까?
들어가며, 2022년을 돌아보면 지난해는 일상과 블록체인 기술의 접점이 늘어나는 한 해였습니다. 비트코인 같은 화폐 형태로 알려졌던 블록체인 기술이 현재는 화폐만의 가치를 넘어 하나의 예술 작품이자, 개인의 활동과 신분을 증명하는 방식이 됐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수단으로 확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블록체인 기술의 핵심인 메인 네트워크를 운영하는 회사들 또한 기존의 사업 영역을 확대하고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런 다양한 시도와 활동은 블록체인 서비스의 고객에게 어떻게 전달되고 있을까요? 오늘은 이러한 관점에서 저희가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브랜드 사이트들을 둘러본 경험을 짧게나마 공유하고자 합니다. 메인 네트워크의 목표와 가치를 전달한다 브랜드 사이트의 Home 화면은 브랜드의 ..
-
Web 3.0시대에 알면 좋을 것들
들어가며 Web 3.0, NFT(Non-fungible token), DeFi(Decentrlised Finance), DAO(Decentalised Autonomous Organisation), 블록체인 등과 같은 키워드들이 작년부터 심심치 않게 보이더니 올해는 더 많은 사람들이 이에 대해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는 것 같습니다. 테슬라의 CEO인 일론 머스크는 "Web 3.0은 마케팅 용어에 가깝다"라는 의견을 남겼었고 트위터 창업자인 잭 도시도 Web 3.0은 추구하는 이상과 실체가 다른 기술이라는 부정적인 의견들을 여러 전문가들과 마찬가지로 이야기하였습니다. 하지만 IT & 플랫폼 기업들은 다른 행보를 보이고 있습니다. 아시다시피 페이스북이 메타로 사명을 바꾸면서까지 이러한 기술 도입의 적극적인 모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