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ueprint(2)
-
[2012 pxd talks 13] Service eXperience Design
지난 11/16일에는 Adaptive Path의 디자인 이사로 재직하고 계신 제민 헤게만(Jamin Hegeman)씨가 서비스 디자인에 대한 주제로 강의를 해주셨습니다. 서비스 디자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만큼 많은 직원 분들이 열의를 갖고 참석하였고, 강의 내내 집중해서 듣는 모습이었습니다. 강의는 다음과 같이 크게 2가지 세션으로 진행되었습니다. 1. Mapping the Journey + Service Blueprints 2. Pollinating Business Culture With SX 참고) 이후에 나오는 모든 이미지들은 다음의 링크에서 가져온 것임을 알립니다. http://www.slideshare.net/jaminhegeman 1. Mapping the Journey + Servi..
-
UI 설계도에 해당하는 용어들
User Interface Design은 매우 어린 학문이어서 자신의 주요 결과물을 무엇이라 부를 건가에 대해서조차 합의된 용어가 없습니다. 우리말로 하면 이른바 "UI 설계도"라고 할 수 있을까요? 하여간 업계에서 사용하는 용어를 모아보면, 1. UI 문서 GUI 문서에 대비되는 개념으로 UI를 설계한 문서라는 뜻인데, 웬지 정통성 없는 단어 같은 느낌이 듭니다. 2. 화면 설계서 제가 개인적으로 가장 선호하는 말은 '화면 설계서' 인데 다소 '흐름'에 대한 부분이 약한 느낌은 있지만 적어도 무엇을 이야기하는지는 어느 정도 설명하는 용어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이것을 영어로 하면, 3. Wireframe wire 즉 철사줄을 생각하시면 되겠죠. 철사줄로 만들어 놓은 조형물이 wire frame입니다.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