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BS(2)
-
맥락 기반의 버스 승차 알림
아이를 어린이집에 바래주고 출근하면서부터 지하철 대신 버스를 탑니다. 지하철에 비해 버스를 타면서는 신경 쓸 일이 많아졌습니다. 버스를 타면서 경험했던 불편과 문제 해결을 위한 디자인 과정을 공유합니다. 버스 기다리는 것도 일이다 버스는 정류장에서 버스 기다리는 것 자체가 힘든 ‘일’ 입니다. 지하철은 플랫폼에 열차가 들어 오면 아무 생각 없이 타면 됐거든요. 하지만 버스는 정류장에 정차하는 버스가 내가 탈 버스인지 아닌지 매번 번호를 확인하고 판단해야 합니다. 한적한 정류장에서는 별 일 아니지요. 그런데 제가 타는 정류장은 26개의 노선 버스가 정차하는 중앙차로 정류장입니다. 정말 끊임 없이 버스가 들어오고 나갑니다. 버스가 몰려 버스들이 꼬리를 물고 늘어서면 쏟아져 내린 인파로 금새 혼잡해집니다. 뒷..
-
비콘기술을 활용한 LBS(Location-based service) 디자인 제안 결과 공유
……………… 저는 올해 UX디자인 프로세스를 토대로 비콘기술을 활용한 LBS 디자인 제안을 국립한경대학교 4학년 수업으로 진행하였습니다. 수업을 진행하면서 기대 이상으로 진심을 다해준 학생들 한명 한명에게 고마웠습니다. 많은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영감이 되길 바라며 작업물을 공유합니다. 또한 10월 20일부터 24일까지 잠실 한국광고문화회관(KOBACO)에서 졸업전시회를 진행하니 관심있으신 분들의 참여 부탁드리며, 고생한 학생들에게 격려 한마디 건네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올해는 특별히 이상선 선생님 지도하에 해당 주제로 세 팀이 DDP에서 전시도 진행하였습니다.2016년 한경대 졸업전시회 페이스북 페이지 링크DDP Y-Smart 워크샵&세미나 링크 주제: 비콘기술을 활용한 LBS(Location-bas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