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I guideline(3)
-
신입 UI 디자이너를 위한 'UI 가이드라인 바로 배우기' 지침서
얼마 전 동료로부터 다음과 같은 질문을 받았습니다. "유리 주임님은 디자인을 전공하지 않으셨는데, 처음으로 프레임워크 스케치를 할 때 어떤 느낌이었어요?"저의 대답은 "흥미로워 보였지만 너무 막막했어요." 였습니다. 그리고 어떻게 해결해 나갔는지를 이야기 하면서 UI 가이드라인을 공부하게 된 이유와 그 과정에서 겪은 시행착오가 생각났습니다. 이를 통해 얻은 교훈을 정리해 보고, 신입 디자이너들 중에서도 비슷한 어려움을 겪었거나 겪고 있는 분들에게 도움이 될까 하여 이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각종 UI 가이드라인 링크 모음을 공유하고 그에 앞서, 가이드라인을 효과적으로 읽기 위한 올바른 방향(당시에 제가 알았더라면 정말 좋았을 것 같은)에 대해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개인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
-
마음을 생각하는 디자인 - 심리학으로 바라보는 UI 가이드라인
앞서 게재된 이재용님의 글(http://story.pxd.co.kr/949)에서 UI 가이드라인을 적용할 때의 고려사항 몇 가지를 짚었습니다. 그 중 '가이드라인이 나온 인지적/심리적 배경을 이해한다.' 라는 내용은, 가이드라인이 나오게 된 근본적인 이유를 인간의 심리적 측면에서 이해해야 함을 말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이와 관련해 책에 언급된 내용 몇 가지와 제가 느낀점들을 정리해 보고자 합니다. '마음을 생각하는 디자인'에서 더 다양한 내용을 다루고 있으니 더 많은 예시는 책을 읽어보시면 되겠습니다. UI 디자인을 하면서 들었던 조언 중 하나는, 잘 만들어진 여러 UI 가이드라인 문서를 통해 인터페이스 기본 원칙, 컴포넌트의 종류와 패턴 등에 대한 기본기를 다지라는 말이었습니다. 업무상 UI 가이..
-
안드로이드 UI/GUI 가이드라인
http://developer.android.com/guide/practices/ui_guidelines/index.html 안드로이드 개발자를 위한 사이트(Android developers)에 UI guidelines 카테고리가 있습니다. Icon Design Guidelines + Android Icon Templates Pack Widget Design Guidelines Activity and task Design Guidelines Menu Design Guidelines 이상 4개의 섹션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안드로이드용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포함한 디자인 및 태스크를 디자인하는 기본적인 구성원칙과 개념, 해상도에 따른 사이즈, 컬러 등을 상세히 알려주고 있네요.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 디자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