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uideline(9)
-
[HCI KOREA 2015 후기 1/2] 성공적인 스마트TV 표준 가이드라인 만들기 발표 후기
2014년 12월11일, HCI KOREA 2015에서 '스마트TV 표준 가이드라인에 대한 사례 발표'를 진행하였습니다. 현장의 분위기와 발표 내용을 간략하게 요약하여 공유합니다. 성공적인 스마트TV 표준 가이드라인 만들기 UX디자이너에게 표준을 지키는 일은 중요합니다. 더불어 표준을 만드는 일도 중요합니다. 이번 학회에서 나눌 주제는 'IT 솔루션의 표준을 만드는 일' 즉 표준 가이드라인(General Guideline)작성에 관한 내용이었습니다. IT 솔루션을 개발하고 디자인하는 곳이라면 어디서든 표준 가이드라인을 만듭니다. 스마트TV도 예외는 아닙니다. 특히 스마트TV OS개발의 경우 기획, 개발, 디자인 등 다양한 부서 간 협업을 통해 서비스가 만들어집니다. 때문에 서비스의 일관성을 유지시켜 주는..
-
UX 신입 디자이너가 알아야 할 UI디테일 용어 1탄
그리 오래 전은 아니지만 UX라는 분야에 처음 입성했을 때, 머리 속에 가득 찬 아이디어를 우리가 흔히 부르는 Wireframe에 옮기는 데 애를 먹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림은 대충 그려지는 데 정작 내가 그리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 '정의'를 내릴 수가 없었던 탓이지요. 이처럼 기획자라면 누구나 UI규격서를 설계해 본 적이 있을 것입니다. 이것은 UI기획자와 디자이너 간, 혹은 UI기획자와 개발자 간의 일종의 약속이자 물리적인 결과물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모든 약속은 명확한 정의가 바탕이 되어야 합니다. 그래야 작업자 간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이끌 수 있으니까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기본적인 조건인 UI컴포넌트 용어를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시리즈의 첫 번째로 가장 기본적인 전..
-
안드로이드 디자인 : Android 4.0 ICS 디자인 가이드
구글이 안드로이드 아이스크림 샌드위치(Ice Cream Sandwich) 스타일 가이드인 을 공개했습니다.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탑재한 스마트폰/태블릿 모두에 최적화된 애플리케이션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만드는 데 도움을 주는 가이드라고 소개하고 있습니다. 안드로이드 디자인 가이드(영문) : http://developer.android.com/design/index.html 안드로이드 디자인 가이드(한글 번역) : http://klutzy.github.com/android-design-ko/ 디자인 가이드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 Style (devices and displays, themes, typography, color, writing style etc.) - Patte..
-
왜 어떤 가이드라인은 실패하는가? - 말보다 행동이 중요하다
그리 쉽지는 않지만, UI 디자이너에게 표준을 지키는 일은 중요하다. 특히 많은 사람들이 이미 따르는 표준이라면 그 중요성은 배가된다. 이해를 돕기 위하여 4회에 걸쳐서 Mac OS 표준, Windows OS 표준, 그리고 ISO(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표준의 역사에 대해서 알아보기로 한다. 1. 사용자의 80%만을 위해 디자인하라 - Apple Human Interface Guidelines의 역사 2. 마침내 혼란을 극복한 Windows7 - Windows User Experience Interaction Guidelines의 역사 3. 그들만의 리그, 우울한 ISO UI 표준 - ISO 13407 & ISO 9241의 역사 4. 왜 어떤 가이드라인은 실패하..
-
그들만의 리그, 우울한 ISO UI 표준 – ISO 13407 & ISO 9241의 역사
그리 쉽지는 않지만, UI 디자이너에게 표준을 지키는 일은 중요하다. 특히 많은 사람들이 이미 따르는 표준이라면 그 중요성은 배가된다. 이해를 돕기 위하여 4회에 걸쳐서 Mac OS 표준, Windows OS 표준, 그리고 ISO(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표준의 역사에 대해서 알아보기로 한다. 1. 사용자의 80%만을 위해 디자인하라 - Apple Human Interface Guidelines의 역사 2. 마침내 혼란을 극복한 Windows7 - Windows User Experience Interaction Guidelines의 역사 3. 그들만의 리그, 우울한 ISO UI 표준 – ISO 13407 & ISO 9241의 역사 4. 왜 어떤 가이드라인은 실패하..
-
마침내 혼란을 극복한 Windows 7 - Windows User Experience Interaction Guidelines의 역사
그리 쉽지는 않지만, UI 디자이너에게 표준을 지키는 일은 중요하다. 특히 많은 사람들이 이미 따르는 표준이라면 그 중요성은 배가된다. 이해를 돕기 위하여 4회에 걸쳐서 Mac OS 표준, Windows OS 표준, 그리고 ISO(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표준의 역사에 대해서 알아보기로 한다. 1. 사용자의 80%만을 위해 디자인하라 - Apple Human Interface Guidelines의 역사 2. 마침내 혼란을 극복한 Windows7 - Windows User Experience Interaction Guidelines의 역사 3. 그들만의 리그, 우울한 ISO UI 표준 - ISO 13407 & ISO 9241의 역사 4. 왜 어떤 가이드라인은 실패하..
-
사용자의 80%만을 위해 디자인하라 - Apple Human Interface Guidelines의 역사
UI 디자이너에게 표준을 지키는 일은 중요하다. 그러나 지난 번 글(UI 디자이너는 표준을 지켜야 하는가?)에서 밝혔듯이 표준을 지키는 일이 그리 쉽지는 않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이미 따르는 표준이라면 그 중요성은 배가된다. 특히 자신이 개발하고 있는 플랫폼의 표준을 익히고 따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해를 돕기 위하여 4회에 걸쳐서 Mac OS 표준, Windows OS 표준, 그리고 ISO(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표준의 역사에 대해서 알아보기로 한다. 1. 사용자의 80%만을 위해 디자인하라 - Apple Human Interface Guidelines의 역사 2. 마침내 혼란을 극복한 Windows7 - Windows User Experience In..
-
안드로이드 체크박스 디자인 fail
퀴즈. 아래 그림의 두번째 사각형 버튼은 무슨 의미일까요? 제가 아는 한 (기존 pc 사용 경험으로는) 저건 dimmed 체크(체크되었으나 사용자가 수정하지 못하도록 비활성화)된 상태입니다. 그런데 사실 저건 안드로이드에서는 그냥 체크가 안된 상태입니다. 체크 표시가 되어 있는데 왜 안되는거지? 이미 체크되어 있는데 뭘 더 어쩌란거지? 오랫동안 시행 착오를 거치고 나서 저게 언체크된 버튼이란걸 알았을때의 황당함과 그동안의 짜증을 기록에 남기기 위해서 블로깅합니다. 일관성(coherence)은 제품 내에서만 독자적으로 지켜지는것만으로는 부족하고 함께 사용되는 환경도 고려되어 져야 합니다. 안드로이드가 자폐증에 걸린것도 아니고 이미 통용되고 있는 디자인 언어를 자기만 다른 의미로 쓰고 있는건 문제가 있습니다..
-
Windows 7 Design Principles
아마 보신 분들도 있겠지만, 안 보신 분들을 위해서 소개합니다. (시간이 나면 동영상 한 번 보면 좋습니다. 아래 사람 말대로 UI 공부보다는 '영어'공부에 더 도움이 될 듯) 50분 정도 길이인데, 작년 11월에 편지 받고 프로젝트 때문에 내내 못 보다가 이제야 봤습니다. 아래에 언급한 Windows 7의 디자인 원칙들을 보면, 1. 정말 중요한 원칙들을 잘 정리했다. 2. 그런데 이렇게 중요한 원칙을 이제서야 알았냐? 그동안의 윈도즈들은 다 뭐냐? 3. 이 중요한 원칙을 알고서도 이렇게 까지 밖에 못 만들었냐? 그러니까 윈도즈가 안 되는 거야 뭐 이런 생각들이 드는 군요 ------------------- Windows 7 Design Principles A. 'Design Principle' 이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