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ck's law(4)
-
선택의 역설- 쨈 얘기는 이제 그만
선택에 관하여 가장 널리 인용되는 연구 중 하나는, 스탠포드 대학원생이었던 Iyengar의 쨈 판매량에 관한 이야기일 것이다. 짧게 요약하면, 쨈 시식대에서 24가지 종류의 시식을 했을 때는 사람들이 더 많이 몰려들었지만 3%만 구매했고, 6가지 종류를 맛보게 했을 때는 30%가 구매했다는 내용이다(참고) 이에 따라 많은 선택을 제공하면 더 많이 선택할거라는 일반적인 사람들의 믿음과 반대로, 선택지를 많이 제공할수록 사람들은 더 적게 선택한다고 하여 이를 '선택의 역설(Paradox of Choice)'이라고 불렀다. 1990년대 중반에 실행된 이 연구는 이후 많은 사람들에게 다시 '상식'이 되었다. 선택의 역설 이러한 주장으로 매우 유명한 책이 2004년 Barry Schwartz 교수의 선택의 심리학..
-
힉의 법칙(힉스 로,Hick's Law)이란?
힉의 법칙(Hick's Law)은, 사람이 무언가를 선택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선택하려는 가지수에 따라 결정된다는 법칙이다. 힉-하이먼 법칙(Hick-Hyman Law)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영문 위키피디아 - Hick's Law 한글 위키피디아 - 힉-하이먼 법칙 선택의 가지수가 많아지면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었겠지... 그건 너무 당연하니까. 그런 걸 법칙이라고 만든 사람도 다 있나? 실은 내용이 좀 다르다. 대부분의 UI 법칙들을 사람들이 잘못 알고 있듯이, 이 법칙도 대부분의 사람들이 제대로 모르고 있다. 우선 어쩌다가 법칙이 되었는지부터 보자. 1951년 영국 심리학자 힉은 10개의 램프가 있는 테이블에서 5초 간격으로 임의의 램프가 켜지게 하고 사용자가 그것을 누르는데 걸리는 ..
-
[정보디자인] pagination 안티패턴
이 글을 웹에서 보고 계시다면 페이지의 맨 아래에 페이지 번호가 쭉 나열된 걸 보실 수 있을텐데요. 이런 UI 요소를 pagination 이라고 합니다. 블로그 글 목록이나 검색 처럼 자료의 양이 많으면 한 번에 표현하기 어려운데요. 페이지 단위의 청크로 나눠 보여주고 쉽게 원하는 부분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UI 패턴입니다. 좀 더 많은 pagination 디자인 유형은 스매슁매거진 기사에 잘 정리가 되어 있습니다. http://www.smashingmagazine.com/2007/11/16/pagination-gallery-examples-and-good-practices/ 익숙하지만 나쁜 UI 이렇게 페이지 숫자들과 이전,다음이 나열되어 있는 형태는 상당히 많이 쓰이는 익숙한 UI인데요. 관습적..
-
다음 지도앱 음성검색 - Primary Action
다음 지도 앱에 음성검색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다음앱과 동일한 음성인식엔진을 사용하지만 체감하는 인식율은 더 높습니다. 지도 검색이라는 컨텍스트가 정해지니까 음성 매칭을 하는 말뭉치(corpus)도 POI정도로 한정하기 때문입니다. 아래 왼쪽이 다음 일반 검색, 오른쪽이 다음 지도 검색입니다. 지역 정보 키워드가 아닌것은 배제하여 유사한 발음으로 오인식될 수 있는 키워드도 줄어드니까 인식 성공률이 높아지겠죠. (다른 그림 찾기 : 아이폰 UI컨벤션으로는 왼쪽에 취소버튼을 둡니다) 음성 인식 Best Matching Keyword 다음앱에서는 설정에서 음성 검색 후에 음성 분석 결과를 볼지 바로 검색결과를 볼지 선택할 수 있었는데, 이번 다음 지도에서는 선택없이 음성 분석 결과를 보여줍니다. 그런데 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