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ey map(5)
-
UX 관점으로 바라본 보험 서비스 1편 - Research
# 이 프로젝트는 개인의 관심에서 시작된 '개인 프로젝트'입니다. UX 관점에서 하나의 주제를 선정하고 [리서치 > 데이터 분석 > 문제 정의 > 해결 방안 도출]의 전체 과정을 빠르고 간결하게 진행해보는 것이 이번 프로젝트의 목표입니다. 여러 명이 모여서 진행하는 실제 프로젝트가 아니기 때문에, 간혹 객관성이 떨어지거나 오류가 있는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세세한 내용에 집중하시기 보다는 문제 접근 방식 및 해결 방안을 찾아 나가는 과정에 포커스를 두고 읽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Series UX 관점으로 바라본 보험 서비스 1편 - Research UX 관점으로 바라본 보험 서비스 2편 - Analysis & Strategy UX 관점으로 바라본 보험 서비스 3편 - Ideation & Solut..
-
디자인 기획자를 위한 인포그래픽(Info-graphics) 2
연재 순서 1. 디자인 기획 과정 속 인포그래픽 2. 디자인 기획에 필요한 인포그래픽의 유형 3. 인포그래픽을 위한 정보 시각화 방법 4. UX Design에서의 활용 2. 디자인 기획에 필요한 인포그래픽의 유형 [디자인 기획자를 위한 인포그래픽] 두 번째 이야기 입니다. 이번 블로그에서는 '디자인 기획에 필요한 인포그래픽 유형'에 대한 이야기를 하려고 합니다. 디자인 기획 과정에서 활용되는 인포그래픽은 조금 더 깊이 있는 접근이 필요합니다. 눈에 보이는 데이터를 단순히 '보기 좋게' 만드는 수준에 그쳐서는 안됩니다. 주어진 정보를 해석하고, '의미있는 정보'들을 임팩트있게 전달할 수 있도록 시각적인 재가공을 할 수 있어야 합니다. 매체를 통해 볼 수 있는 인포그래픽은 단지 '정량데이터'를 보기 좋게만 ..
-
[해외교육] UI17 Day-1 퍼소나 기반의 시나리오 작성하기 (Kim Goodwin)
pxd 교육제도 중, 일정기간 근속한 직원들에게 해외 교육의 기회가 주어지는 제도가 있습니다. 2012년 11월 보스턴에서 진행되었던 UI17 (User Interface Seventeen) 컨퍼런스에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UI17 컨퍼런스에 대해 간략히 소개를 드리자면, UIE(User Interface Engineering)에서 주최하는 행사로, 3일 동안 해외 UX 전문가들의 세미나 발표와 풀데이 워크샵으로 진행됩니다.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기 보다는 현업에 종사하는 UX, UI 디자이너들의 정보 공유와 업무 관련 노하우 공유 및 재교육 목적을 띈 컨퍼런스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첫 날은 Full day workshop으로 Kim Goodwin의 Using Scenarios to Design Intu..
-
[2012 pxd talks 13] Service eXperience Design
지난 11/16일에는 Adaptive Path의 디자인 이사로 재직하고 계신 제민 헤게만(Jamin Hegeman)씨가 서비스 디자인에 대한 주제로 강의를 해주셨습니다. 서비스 디자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만큼 많은 직원 분들이 열의를 갖고 참석하였고, 강의 내내 집중해서 듣는 모습이었습니다. 강의는 다음과 같이 크게 2가지 세션으로 진행되었습니다. 1. Mapping the Journey + Service Blueprints 2. Pollinating Business Culture With SX 참고) 이후에 나오는 모든 이미지들은 다음의 링크에서 가져온 것임을 알립니다. http://www.slideshare.net/jaminhegeman 1. Mapping the Journey + Servi..
-
[2012 pxd talks 02] 서비스 디자인 워크샵 후기
2012년 2월 2일부터 4일까지, 2박 3일 일정으로 대명 비발디 파크에서 UI Lab. 겨울 워크샵을 다녀왔습니다. 첫날은 대명 비발디 파크에서 스키 및 보드를 즐겼고, 둘째 날은 A, B, C, D 4개의 팀으로 나누어 서비스디자인 워크샵을 진행했습니다. 둘째 날 진행된 서비스 디자인 워크샵의 과정과 내용을 소개합니다. 이번 서비스 디자인 워크샵의 주제는 '3040 패밀리를 위한 스키장 서비스 디자인'이었습니다. 4개의 팀으로 나누어 서비스 디자인의 'discover - define - develop - deliver' 과정을 실습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1. Discover 전날 스키를 타면서 관찰한 문제점을 팀원들간 공유하고, 정리하고 실제 사용자를 인터뷰하면서 문제점을 찾기 위해 사고를 확장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