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er research(8)
-
텍스트 분석 도구 개발하기
텍스트 분석 도구 '모라고'를 만들고 있습니다. PXD UX 테크랩은 자연어 처리 기술을 이용해 텍스트를 분석하는 도구 '모라고'를 만들고 있습니다. CSV 형식의 데이터를 업로드하면 '모라고'가 워드 클라우드처럼 키워드를 추출해 주고, 사용자는 키워드별로 중요한 문장을 선별해 다시 텍스트로 복사하는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간단한 사용 예시로 금융 앱 토스의 최근 6개월 iOS 앱 리뷰 46개를 분석 도구로 돌려보았습니다. 분석 도구가 비슷한 주제의 문장을 모아주고 사용자는 그 중에서 눈에 띄는 주제를 살펴봅니다. 이 주제에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문장을 저장하고, 저장한 문장과 키워드를 복사해 추가로 편집할 수 있습니다. (현재 개발 중인 모라고 베타 버전을 이용하실 수 있도록 신청을 받고있습니다..
-
[독후감] 관찰의 힘
관찰의 힘 평범한 일상 속에서 미래를 보다 얀 칩체이스/사이먼 슈타인하트 지음 Hidden in Plain Sight How to Create Extraordinary Products for Tomorrow's Customers Jan Chipchase, Simon Steinhardt 10월 28일 국민대학교에서는 주재우 교수님의 Design Marketing Lab에서 주최한 얀 칩체이스의 강연회(Leap of Faith)가 열렸다. 국내 UX 관련 인사는 다 모인 것이 아닌가 생각할 정도로 아는 사람이 많이 왔다. Frog Design의 글로벌 인사이트 최고 크리에이티브 디렉터이기 때문일 것이고, 노키아에서 일했기 때문이기도 하고, 유명 블로거 (퓨처 퍼펙트)이기도 하고, 한국과 프로젝트를 많이 하기..
-
사용자 연구에 의한 모바일 UI 혁신 사례: 서울에서 온 성공 이야기
아마도 UI/UX 및 HCI 분야에서 가장 유명하고 권위있는 잡지는 ACM에서 발행하는 interactions 일텐데, 2010년 1+2월호에 피엑스디의 성공 사례 기고문이 게재되었다. (주변 분들에 의하면 한국 최초라고 한다) 게재 당시에 블로그로 간단히 알리긴 했지만 저작권 관련으로 원문을 블로그에 실을 수는 없었는데, 이제 2년 정도의 시간이 지났으므로 한국어 번역을 소개해도 큰 무리는 없을 것으로 판단한다. (게재 당시 해외 블로거들의 반응은 소개 블로그 참고) 사례는 2006년 출시된 mMessenger라 6년전의 상황을 회상하면서 읽어야 이해가 쉬울 것이지만, 방법론 자체는 여전히 유효할 것 같다. 사용자 연구에 의한 모바일 UI 혁신 사례 :서울에서 온 성공 이야기 User-Research-..
-
UX 디자이너, 어디까지 고민해야 하는가 (월간 Web 2011.05)
지난 피엑스디 팀 블로그에서 이재용님이 언급한 내용(http://story.pxd.co.kr/357) 이 월간 웹 5월호에 실렸습니다. UX 디자이너, 어디까지 고민해야 하는가 UX 디자이너는 무엇을 하는 사람들인가. ILUVUXDESIGN의 디자이너 라일 알잘도(Lyle Alzaldo) 는 "세상에서 가장 정교하고 융합적이며, 아름다운 직업이 바로 UX 디자이너"라면서 "세상을 새로운 눈으로 바라보고 다양한 체험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만들어내 세상의 질서를 회복시키는 특별한 종족" 이라고 표현했다. 즉, 보이지 않는 경험과 가치를 디자인으로 시각화하고 사람들과 소통함으로써 세상을 바꿔가는 역할자인 셈이다. 이에 현업과 학계에서 UX 디자이너로, 교육자로 애쓰고 있는 전문가를 만나 그들의 얘기를 들어봤다..
-
UX 디자이너의 자질
UX 디자이너가 갖추어야할 자질은 무엇이 있을까? 즉, 어떤 능력이 좋아야 훌륭한 UX 디자이너라고 이야기할 수 있을까? 사람으로서, 사회인으로서, 또 직업인으로서 누구에게나 필요한 다양한 능력 말고, 꼭 UX 디자이너를 구성하는 그런 능력은 어떤 것이 있을까? 오랜 동안 고민해오던 문제인데, 최근 흥미로운 몇 개의 글들을 보고 생각을 정리할 기회를 갖게 되었다. UX 디자이너에게 가장 필요한 능력은 무엇인가? 1. 문제 해결 능력 여러 가지가 있겠으나, 최근에는 이 방향으로 가고 있는 듯 하다. 필자 자신도 100% 동의하고, (유독 그런지는 모르겠으나) 필자 주변 사람들도 모두 그리 생각한다. 쿠오라에서 가장 많은 지지를 받은 답변도 Dan Saffer의 것이었다. (What qualities do ..
-
혁신적인 UI를 위해 하지 말아야할 7가지
원래 발표는 2008년 HCI 학회에서 했었고, 수정한 발표를 2010년 11월 8일 UXEYE(UX Symposium)에서 진행하였는데, 그 동영상이 얼마전에 공유되었기에 알려드립니다. 동영상 강의는 http://id.kaist.ac.kr/ux2010/ 에서 보실 수 있고, 동영상 강의가 아니라 단순하게 슬라이드 셰어(음성 포함)로 보고 싶으시면, http://www.slideshare.net/arangyi/2010-uxeye-ui-7 에서 보시면 됩니다. 참고로, 제 강의 말고 UX Symposium 전반에 관한 내용을 다룬 블로그들은 저희가 한 번 정리한 바 있습니다. http://story.pxd.co.kr/323 또한, 사진 공유입니다. http://www.flickr.com/photos/392..
-
사용자 인터뷰에서의 MBTI 활용
When Observing User Is Not Enough - 10 Guidelines for Getting More Out of Users' Verbal Comments ... by Isabelle Peyrichoux 원문의 내용은 usability test 실무경험을 바탕으로한 10가지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Usability Test 과정에서 사용자로부터 효과적으로 정보를 이끌어내기 위한 방법으로서 심리학에서 몇 가지 이론을 차용하여 설명하고 있는데요, 인터뷰 대상자로부터 단순한 질문에 대한 대답을 얻는 것 보다는 관찰(observation)에 의한 방법이 더 유용하며, 이러한 관찰 기법과 더불어 사용자의 목소리(verbal comments)의 해석을 함께 하는 것이 더욱 신뢰할만한 결과..
-
멘탈모델-체계적인 사용자 조사계획 수립하기
Mental Models by 인디 영 pxd에서 주로 수행하고 있는 사용자 리서치에 기반한 디자인 과정에 매우 seamless(!)하게 적용될 수 있는, 이미 우리가 하고 있다고 할 수도 있지만 그보다는 좀 더 디테일하게 과정이 분절된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아직 제가 책을 읽는 과정이어서 차차로 연재해야 할 것 같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멘탈 모델이란 기존에 우리가 알고 있던 정의(사용자가 이해하고 있는 '시스템의 구조적인 작동방식'에 대한 추상화된 인지적 모델 - 현재 제가 이해하고 있는 정의입니다 ^^;)과는 좀 차이가 있습니다. 한마디로 특정 주제(제품?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행동의 친화도(affinity diagram-연관성있는 것끼리 그룹핑한 구조)를 멘탈 모델이라 정의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