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xd story

pxd story

전체 글보기
  • pxd UX lab (1491)
    • UX 가벼운 이야기 (601)
    • GUI 가벼운 이야기 (153)
    • UX Engineer 이야기 (86)
    • AI 이야기 (11)
    • pxd AI툴 이야기 (8)
    • Blockchain UX 이야기 (71)
    • pxd talks (113)
    • Review | 컨퍼런스, 학회, 전시, 도서 (172)
    • pxd 다이어리 & 소소한 이야기 (201)
    • pxd 뉴스룸 (12)
    • Re-design! (33)
    • pxd 프로젝트 리뷰 (11)
    • inspiration movie (16)
    • (Private) 쓸거리 (0)
    • (Private) pxd idea (0)
  • 공지사항
  • 방명록
  • 태그
  • pxd Homepage
  • pxd Medium - Blockchain Story
  • pxd XE Group - FED
  • LeanUX Lab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글수정 관리

pxd story

컨텐츠 검색

태그

프로젝트 방법 조사 방법 진로교육 해외교육 퍼소나 심리학 산책 디자인 사고 전시와 작가 리뷰 pxd UX pxd Talks 국내교육 서비스 디자인 UI Lean UX 컨퍼런스/세미나 미디어 도서 Persona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2018 pxd story 포스트 모음
  • 2017 pxd story 포스트 모음
  • 2016 pxd story 포스트 모음

아카이브

UX 가벼운 이야기(601)

  • 왼손잡이를 위한 소소한 UI 사례

    위승용 uxdragon ― 2010.09.14
  • iPad 3G 와 Kindle 3G 필요한가?

    이 재용 ― 2010.09.13
  • 팝업 종류별 개선 방안

    위승용 uxdragon ― 2010.09.09
  • Google Instant 의 원형과 미래

    無異 ― 2010.09.09
  • 미투데이(me2Day) 친구찾기 UI (이하 미친UI) 이상하지 않나요?

    이 재용 ― 2010.09.03
  • [접근성] 휠체어를 타면, 계단은 무용지물이다.

    알 수 없는 사용자 ― 2010.09.01
  • 기능배치의 원근법

    전성진 ― 2010.08.31
  • Android의 BACK 버튼과 HOME버튼을 이용한 내비게이션 룰

    전성진 ― 2010.08.26
  • 일본의 Comparison chart 사례

    위승용 uxdragon ― 2010.08.24
  • 기존 유저와 신규 유저의 갭을 어떻게하면 메꿀 수 있을까? - '프리스타일' 게임의 사례를 중심으로

    위승용 uxdragon ― 2010.08.20
  • Interaction Models

    전성진 ― 2010.08.17
  • 맥 키보드 사람답게 사용하기

    無異 ― 2010.08.17
왼손잡이를 위한 소소한 UI 사례

점심시간에 회사분들과 식사하다가 '왼손잡이'에 관한 이야기가 나왔습니다. 곰곰히 생각해 보니 이 주제에 대해서 한번 블로깅 해봐도 좋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기록으로 남기려고 합니다. 본 블로깅에서는 그간 왼손잡이로 살아오면서 불편했던 점들을 생각해보고, 왼손잡이에 대한 소소한 배려를 한 '닌텐도 Wii'와 '와콤 인튜어스 4 타블렛'의 UI 사례에 대해서 간단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왼손잡이가 느낀 불편함에 대하여 그림1. 왼손으로 필기하기 이미지 출처 : http://garden.egloos.com/10004226/post/82384 1. 저는 왼손잡이입니다. 언제부터 왼손잡이였는지는 기억이 나지 않습니다. 그냥 왼손잡이였습니다. 초등학교 선생님 중 한분은 제가 왼손으로 글씨를 쓰는것을 정정하시려고 수..

위승용 uxdragon 2010. 9. 14. 00:51
iPad 3G 와 Kindle 3G 필요한가?

아이패드를 처음 샀을 때는 WiFi 면 됐지하고 생각하고 별 고민 안 하다가 3G를 추가로 사 보게 되었는데, 처음 생각과는 달리 iPad 3G가 꽤 유용하다. 어차피 1. 집에서 아이들 놀이용이 많고, 2. 아내가 노트북을 쓸 때 내가 인터넷을 쓰거나 게임을 하고, 3. 컴퓨터 켜기 귀찮은데 간단하게 인터넷 보고 싶을 때 사용하는 것이 주이지만, SKT에서 제공하는 단말기기용 USIM을 꽂으면 추가 요금 없이도 데이터 한도 내에서 3G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가족들이 자동차로 여행할 때 인터넷 보기도 좋고, 큰(!) 네비게이션으로 쓸 수도 있고, 게임기로 쓸 수도 있다. 별 고민없이 Kindle도 3G를 구입하였다. 킨들은 전세계 거의 모든 나라에서 (한국 포함) 무료로 3G를 사용할 수 있다. 미국..

이 재용 2010. 9. 13. 21:21
팝업 종류별 개선 방안

Moux 연구회의 백승화님이 쓰신 관계디자인 책을 읽었습니다. 저는 특히 '팝업 디자인' 부분이 인상깊었습니다. 이 책에서 '팝업 디자인'은 크게 확인팝업, 알림팝업, 입력팝업, 옵션팝업으로 구분된다고 하였습니다. 그 중에서도 핸드폰 내부 상황에 따른 인터럽트, 사용자 동작상황에 따른 이벤트로 구분을 하였습니다. 팝업 디자인 챕터에서는 해당 팝업상황에서 종류별 개선방안을 다루고 있으며 개선방안은 아래 표에 정리되어있습니다. (표의 내용은 Moux 팀블로그에서 가져와 재구성 했습니다.) 팝업 종류별 개선방안 이미지는 출처를 통해 재구성 http://moux.tistory.com/57 팝업 종류별 개선사항의 전반적인 내용에는 동의합니다만, 추가로 제 생각을 덧붙여서 정리해보았습니다. 1. 소프트웨어 인터럽트..

위승용 uxdragon 2010. 9. 9. 22:37
Google Instant 의 원형과 미래

구글이 검색어 입력을 완료 하지 않고도 키 입력중에 바로 검색 결과를 보여주는 incremental search 를 google instant 라는 브랜드로 런칭하였습니다. 구글은 검색어를 자동완성해주는 google suggestion의 성공에 이어 이제는 검색 결과도 바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런 놀라운 검색경험의 변화는 사실 새로운건 아닙니다. 하지만 메이저 플레이어인 구글이 제공하기로 했다는데 의미가 있습니다. 이제 다 따라할테니까요. 그럼 구글 인스턴트 검색의 원형(原形)을 살펴보겠습니다. MacOS Spotlight 스팟라이트는 맥오에스의 기본 검색기능입니다. 맥에 있는 모든 자료를 메타검색하게 해주는데요. 당시의 다른 검색 기술에 비교해서 사기라고 생각되는 빠른 속도에 놀랐습니다. 검색어를 입..

無異 2010. 9. 9. 11:47
미투데이(me2Day) 친구찾기 UI (이하 미친UI) 이상하지 않나요?

많이 쓰시는 분들은 익숙하시겠지만, 요즘의 SNS들은 참 쓰기가 어렵습니다. 제 주변친구들은 이제 모두 40대인데요, 개념 자체가 생소한 부분도 있지만 워낙 UI 자체를 못 만든 부분도 저는 분명히 있다고 생각합니다. twitter도 그렇고 facebook도 그렇고 몇 년째 쓰고 있는 저한테도 아직 어렵고 좌절할 때가 있는데 이제 처음 시작하는 친구들은 어떨까 걱정이 됩니다. 예전에 가입만 하고 안 쓰던 미투데이를 다시 써보려고 하는데요, 어려움이 느껴지네요... twitter나 facebook 만큼의 좌절은 아니지만, 우리 나라 서비스나까 애정을 가지고 제가 느낀 점을 써 볼까 합니다. 가입 후 친구가 0명이었는데, 처음 친구를 등록해 보았습니다. 2명을 하다 너무 힘들어서 이 글을 쓰면서 3번째로 해..

이 재용 2010. 9. 3. 17:15
[접근성] 휠체어를 타면, 계단은 무용지물이다.

얼마전, 제가 맹장염에 걸렸는데, 동네 병원에서 근육통이라고 오진을 했었습니다. 그래서 파스를 붙이고 참다가 맹장이 터져버린 웃지못할 헤프닝이 있었습니다. 그 일로 복막염이라는 병을 얻어 병원에 입원하게 되었고, 수술후 2~3일간은 복통이 너무 심해서 걷지 못하였습니다. 답답해하는 저를 위해 아내는 휠체어를 구해와서 태워주었습니다. 아내가 끌어주는 휠체어를 타는 경험은 소소하나마 즐거운 일이었습니다. ------------------------------------------------------------------------- 위처럼 휠체어를 타거나, 링거를 꼽게 되면 일단 결코 '계단'을 이용할 수 없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1층에서 2층을 갈때도 붐비는 병원 엘리베이터를 15분 이상 기다려야 했습..

알 수 없는 사용자 2010. 9. 1. 19:34
기능배치의 원근법

르네상스 이래 원근법은 2차원의 평면에서 3차원의 입체를 표현하기 위한 기교로서 널리 활용되었는데, 시각적인 효과면에서 볼 때, 근경-중경-원경에 따른 시각적인 깊이감을 줌으로써 시선의 흐름을 유도하여 작가의 의도대로 '화면을 순차적으로 읽을 수 있게'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효과'는 근,현대회화에서 선형원근법 뿐 아니라 면적, 형태, 컬러, 명도 등의 다양한 요소를 통하여 그 효과를 증대, 발전시키고 있죠. (난해한 근 현대회화를 감상할 때 자연스럽게 시선의 흐름을 느끼면서 감상하는 방법을 연습해보시기 바랍니다!) 이러한 원리는 정보디자인에서도 적용될 수 있는데요, 화면에서의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즉, 어떤 정보부터 보아야 하는지, 어떤 정보가 중요한 것인지, 어떤 정보가 부..

전성진 2010. 8. 31. 15:50
Android의 BACK 버튼과 HOME버튼을 이용한 내비게이션 룰

안드로이드 폰은 하드키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방법으로서 HOME 버튼과 BACK버튼 두가지를 제공합니다. HOME버튼을 누르면 HOME화면으로 이동하고, BACK버튼을 누르면 '이전화면'으로 이동을 합니다. PC의 웹브라우저에서 '이전'버튼을 매우 유용하게 사용하는 것과 같이 이 버튼을 하드키로 제공하여 매우 빈번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입니다. 그런데 안드로이드 개발자 사이트를 참고해보면 HOME버튼과 BACK버튼은 버튼실행 후의 '이동위치'의 차이 외에도 중요한 차이가 있습니다. 이 차이를 언급하기 전에 간단하게 안드로이드 시스템에 관한 간단한 학습이 필요합니다. 안드로이드 시스템을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4가지 컨셉은 Applications / Activities / Activity Stack / ..

전성진 2010. 8. 26. 18:19
일본의 Comparison chart 사례

시작하며... UI기획을 하면서, 비교 차트를 만들 일이 종종 있습니다. 차트를 만들면서 항상 느끼는점은 한정된 화면에 얼마나 많은 정보를 보기 쉽게 보여줄 것인가 일 것입니다. 일본 여행을 가서 구한 일본의 Comparison chart 를 보면서 잘 만든 차트 하나가 열 마디의 설명보다 낫다고 생각했습니다. 이에 몇 가지 차트를 살펴보았습니다. 일본 Comparison chart 의 특징 1. 빽빽한 구성 일본 Comparison chart의 가장 큰 특징은 빽빽한 구성입니다. 문서를 꼼꼼하게 잘 챙겨보는 일본 사람들의 성향을 반영한 것으로 여겨집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메뉴얼을 주의깊게 보는 사람들이 별로 없는 반면, 일본 사람들은 메뉴얼을 보더라도 꼼꼼히 살펴 본다고 합니다. 이런 합리적인 사고를 반..

위승용 uxdragon 2010. 8. 24. 16:54
기존 유저와 신규 유저의 갭을 어떻게하면 메꿀 수 있을까? - '프리스타일' 게임의 사례를 중심으로

저는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프리스타일 게임을 가끔씩 하고 있습니다. 프리스타일 게임을 하면서 '이 게임은 참 신규 유저에게 불친절한 게임이다.' 라는 생각이 들더군요. 이에 프리스타일 게임은 과연 얼마나 잘하고있는지, 프리스타일 게임의 문제점 및 현 상태를 살펴보았습니다. 게임 UI의 전반적인 내용에 대해서도 함께 분석해보고 싶었으나 UI에 관한 내용은 다음 기회로 미뤄두려 합니다. 또한 프리스타일 게임에서 왜 신규유저가 잘 적응하지 못하는지에 대해서도 살펴보고 싶었습니다. 멀티플레이 채널 선택 화면 첫째, 회원등급제의 실효성 프리스타일은 과연 회원 등급별 구분이 잘 되어있을까요? 프리스타일의 회원 등급은 다음과 같이 5등급으로 되어있습니다. 레벨에 따른 회원을 나눠놓아서 비슷한 실력의 유저와 게임을 할..

위승용 uxdragon 2010. 8. 20. 18:55
Interaction Models

pxd에는 오랫동안 축적되어온 사용자 관찰 기법들과 노하우가 있습니다. "어떻게 하면 사용자로부터 디자인에 필요한 '좋은 정보'들을 얻어낼 수 있는가?" 이를 위해 열심히 스터디도 하고 프로젝트에서 얻어진 경험을 공유하기도 합니다. 그러면... 이렇게 해서 얻어진 '좋은 정보'를 가지고 어떻게 디자인을 해야 할까요? pxd에는 '상세하게 분절된 좋은 방법들' (저는 이것을 '징검다리'라고 표현합니다)이 있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징검다리들의 간격은 넓어 보입니다. 징검다리는 디자이너가 딛고서 건너기 위한 목적도 있습니다만, '이렇게 건넜다'라고 증명하기 위한 용도로도 사용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좋은 정보'에서 '좋은 디자인'으로의 연결을 위한 징검다리 중 하나를 놓는 작업을 해 보려고 합니다. 사용자 조..

전성진 2010. 8. 17. 18:15
맥 키보드 사람답게 사용하기

이전 글에서 맥의 단축키 사용시 command 키의 배열이 인간공학적인 측면에서 좋다고 칭찬했지만 반대로 짜증 나는 단축키도 있습니다. 학습성(원칙) vs. 효율성 - Enter to Rename. 맥에서는 윈도우의 탐색기 같은 파일관리자가 파인더인데요. 윈도우에서 스위칭한 모든 맥유저는 키보드로 파일을 탐색하면서 꼭 한번은 충격과 좌절을 경험합니다. 파일이나 폴더가 포커스된 상태에서 엔터를 누르면 파일이나 폴더가 열리는게 아니라 파일명 바꾸기가 됩니다. 폴더를 열기 위한 단축키는 command-o 또는 command-down_arrow 를 사용합니다. 익숙해지겠지 하며 참고 참았지만 절대 익숙해지지 않습니다. 파일을 실행하거나 폴더를 여는 가장 빈번한 일에 매번 어려운 조합키를 이용하는게 편할리가 없지..

無異 2010. 8. 17. 12:56
1 ··· 40 41 42 43 44 45 46 ··· 51
pxd story pxd, inc. pxd 오시는 길 XE Group UX Tech Lab.
©2025 pxd, inc.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