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이드라인(15)
-
UI 디자이너는 표준을 지켜야 하는가?
UI 디자이너는 표준을 지켜야 하는가? 라고 물으면 누구나 '그렇다'라고 쉽게 대답하겠지만, 현실은 그렇게 단순하지 않다. 표준이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표준이라면 크게 문제가 되지 않지만, 보통의 사람들이 많이 사용하지 않는 표준이라면 고민이 시작된다. 표준을 지킬 것인가? 관습을 따를 것인가? --------- 1. 만약 당신이 지도 App을 만든다고 할 때, Km 라고 쓸 것인가 아니면 km 라고 쓸 것인가? 표준에 따르면 'Km' 'KM' 'Kg' 등은 모두 잘못된 표기이다. UI 디자이너라면 국제 표준(SI)을 세심하게 파악하고 무엇이 올바른 표기인지 정확하게 알아야 한다. Kilo-의 k는 소문자로 써야한다.[각주:1] 기본적으로 1000이하는 모두 소문자, 그 이상은 모두 대문자 접두사이다...
-
안드로이드 체크박스 디자인 fail
퀴즈. 아래 그림의 두번째 사각형 버튼은 무슨 의미일까요? 제가 아는 한 (기존 pc 사용 경험으로는) 저건 dimmed 체크(체크되었으나 사용자가 수정하지 못하도록 비활성화)된 상태입니다. 그런데 사실 저건 안드로이드에서는 그냥 체크가 안된 상태입니다. 체크 표시가 되어 있는데 왜 안되는거지? 이미 체크되어 있는데 뭘 더 어쩌란거지? 오랫동안 시행 착오를 거치고 나서 저게 언체크된 버튼이란걸 알았을때의 황당함과 그동안의 짜증을 기록에 남기기 위해서 블로깅합니다. 일관성(coherence)은 제품 내에서만 독자적으로 지켜지는것만으로는 부족하고 함께 사용되는 환경도 고려되어 져야 합니다. 안드로이드가 자폐증에 걸린것도 아니고 이미 통용되고 있는 디자인 언어를 자기만 다른 의미로 쓰고 있는건 문제가 있습니다..
-
좋은 네비게이션 레이블(lable)의 조건
UI 기획을 할때 레이블링하는것 만큼이나 어려운 일은 없더군요. 책을 찾아보다가 Designing web navigation 에서 좋은 네비게이션 레이블의 조건에 대해서 기술하고 있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그중 '네비게이션 레이블링 챕터' 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네비게이션용 레이블링 뿐 아니라, 용어 레이블링 할때도 적용할 수 있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또한 웹사이트 기획 뿐 아니라 다른 디지털 디바이스들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A. 사용자 언어로 말하기 1. 회사 전문 용어를 쓰지 않는다. 회사 전문 용어는 너무 쉽게 웹사이트에 들어가 있습니다. 이러한 전문용어는 사용자에게 도움이 되기보다는 혼란스럽게 합니다. 2. 기술 용어를 쓰지 않는다. 대부분 방문자들은 사이트를 만든 사람만큼 웹 사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