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 pxd Talk & Workshop(7)
-
[2012 pxd talks 10] 디자인 씽킹과 앙터프러너십 : 숨겨진 니즈와 지속가능한 솔루션을 찾는 통합 모델과 사례
지난 번 적정기술에 대한 포스팅에 생각보다 많은 분들의 관심과 반응으로 놀랐었는데요, 사내에서도 적정 기술 뿐만아니라 디자인으로써 사회 공헌의 역할에 대한 관심과 고민이 늘어가고 있습니다. 이번 pxd talks에서는 이런 배경으로 모시게 된 김정태님의 '디자인 씽킹과 앙터프러너십 : 숨겨진 니즈와 지속가능한 솔루션을 찾는 통합 모델과 사례'를 공유하려고 합니다. 내용은 다음과 같은 단계의 흐름을 가지고 진행되었습니다. 1. 나와 디자인 2. "디자인은 혁신이다" 디자인과 국제 이슈 3. 디자인 씽킹(Design Thinking)은 무엇을 위한 것? 4. 앙터프러너십(Entrepreneurship)은 무엇을 위한 것? 5. 디자인씽킹(design thinking)과 앙터프러너십(entrepreneursh..
-
[2012 pxd talks 06] 소셜미디어 진화 방향과 사회적 이슈
5월 7일 pxd에서는 소셜컴퓨팅연구소 대표이신 한상기 박사님의 강의가 있었습니다. 강의 주제는 "소셜미디어 진화 방향과 사회적 이슈"였는데요, 이 분야에 대한 오랜 연구와 경험을 바탕으로 깊이있는 내용을 들을 수 있던 시간이었습니다. 싸이월드를 필두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등의 다양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현황, 각 소셜 미디어의 데이터 수집과 활용의 내용으로 강의가 진행 되었습니다. 다양한 SNS의 발달로 새롭게 정의되고 고민되는 논제들도 있었는데, 간략하게, 관계 맺기의 다양성 (Friending, Following, Subscribing, Circle...) 각 소셜미디어에서의 아이덴티티 매니징 인터넷 자경주의 데이터의 중요성 vs. 프라이버시 인권 vs. 표현의 자유 정도로 소개해 드..
-
[2012 pxd talks 05] SMI 아이트래커 활용 방법 및 사례
3월 30일 pxd에서는 SMI 아이 트래커(Eye Tracker) 활용 방법 및 사례에 대한 강의가 있었습니다. 아이 트래킹은 사용자 조사 등의 리서치 단계에서 활용되는 것 중 하나로, 사람의 눈동자 움직임을 지속적으로 관찰하여 자극에 대한 반응과 정보 습득 결과를 연구하는 방법입니다. 아이트래커 장비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작동 원리와 기본적인 용어들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이번 강의에서는 그러한 부분들을 중심으로 내용을 전달해 주셨습니다. pxd에서도 프로젝트에 따라 아이트래커 장비가 이용되기도 하기 때문에, 이번 강의가 아이트래킹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참고 - 2012 pxd talks - Talk, Workshop & Coaching] 2012/12/03[201..
-
[2012 pxd talks 04] UI 스터디 워크샵 후기 - 컨텍스추얼 인터뷰
pxd에서는 매주 수요일마다 사내 UI 스터디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올해 상반기에는 총 3권의 책에 대한 스터디가 계획되어 있습니다. 그 중 3월 한달간 공부했던 책, '컨텍스트를 생각하는 디자인'에서 배운 내용을 실제로 경험해 볼 수 있는 사내 워크샵 시간을 가졌습니다. 워크샵 일정은 책의 3~6장에 해당하는 내용에 따라 순서대로 진행하였습니다.3장 : 컨텍스추얼 인터뷰 계획하기 4장 : 컨텍스추얼 인터뷰 하기 5장 : 컨텍스추얼 인터뷰 해석 세션 6장 : 업무 모델링 4명씩 총 4팀으로 구성하여 주제당 2팀씩 할당한 후 워크샵을 진행하였으며, 주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사내 프로젝트룸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2. UI팀/GUX센터간의 협업 방식 및 형태 개선하기약 5시간동안 점심식사도 걸러가며 열심히..
-
[2012 pxd talks 03] 부엉이 쪽지 기획/개발/운영
pxd talk&workshop 두 번째 시리즈로 강규영씨께서 "부엉이 쪽지기획/개발/운영"에 대한 이야기를 나눠주셨습니다. 강규영씨는 정보 시각화 강의에 이어 pxd talk&workshop의 두 번째 시간도 함께 해주셨는데요, 부엉이 쪽지의 기획 배경부터 운영/관리 에피소드, 앞으로의 방향, 고민들에 대한 자세하고 실제적인 내용들로 강의 순간 순간을 재밌고 알차게 채워주셨습니다. [참고 - 2012 pxd talks - Talk, Workshop & Coaching] 2012/12/03[2012 pxd talks 13] Service eXperience Design by jun.ee 2012/11/16[2012 pxd talks 12] 현실과 상상의 경계 :: 이수지 작가의 그림책 이야기(3) by ..
-
[2012 pxd talks 02] 서비스 디자인 워크샵 후기
2012년 2월 2일부터 4일까지, 2박 3일 일정으로 대명 비발디 파크에서 UI Lab. 겨울 워크샵을 다녀왔습니다. 첫날은 대명 비발디 파크에서 스키 및 보드를 즐겼고, 둘째 날은 A, B, C, D 4개의 팀으로 나누어 서비스디자인 워크샵을 진행했습니다. 둘째 날 진행된 서비스 디자인 워크샵의 과정과 내용을 소개합니다. 이번 서비스 디자인 워크샵의 주제는 '3040 패밀리를 위한 스키장 서비스 디자인'이었습니다. 4개의 팀으로 나누어 서비스 디자인의 'discover - define - develop - deliver' 과정을 실습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1. Discover 전날 스키를 타면서 관찰한 문제점을 팀원들간 공유하고, 정리하고 실제 사용자를 인터뷰하면서 문제점을 찾기 위해 사고를 확장시..
-
[2012 pxd talks 01] 정보 시각화(Information Visualization)
2월 14일 pxd 에서는 강규영씨(http://alankang.tistory.com, http://twitter.com/alankang )께서 "정보 시각화(Information Visualization)"라는 제목으로 강의를 해주셨습니다. 중요한 의사 결정을 데이터에 기반해서 내리고, 빅데이터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모여지는 요즈음, 데이터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트랜드에서 디자이너들은 무엇을 준비하면 좋을까라는 시작으로 발표를 진행해 주셨습니다. 시각화를 왜 하는가에서부터 실제로 내 주변에서 접하는 통계적 추론, 과학적 추론의 데이터를 어떻게 적용해 볼 수 있는가까지 살펴 볼 수 있는 유익하고 즐거운 시간이었습니다. [참고 - 2012 pxd talks - Talk, Workshop & Coach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