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il(4)
-
조선일보 지면의 아쉬운 QR코드 적용 사례
며칠 전 부터 조선일보는 지면의 제약으로 제공하지 못하는 동영상, 사진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쉽게 접근 하도록 기사 하단에 QR코드를 삽입해 두기 시작했습니다. 지면을 할애하여 대대적인 홍보도 하고 있고요. 인쇄물의 한계를 넘어서려는 의미 있는 노력입니다만 기술만을 거칠고 우직하게 적용하고 실제 고객의 사용경험에 대한 고려는 부족한 것 같아 아쉬웠습니다. 요즘 지면 광고에도 QR코드 사용이 부쩍 눈에 많이 띄입니다. 지면이 부족하니까 위에 사진처럼 기사에 추가하는 QR코드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코드보다 훨씬 작은 걸 사용합니다. 그런데 문제는 일반적인 QR코드 인식앱은 이런 작은 크기를 지원하지 않거든요. 신문에 크게 광고한 QR코드 사용법에 안드로이드용 앱 설명만 있고 아이폰에 대한 언급은 없어서 이런 ..
-
다음 모바일웹 좌우 페이지 플리킹 fail
다음 모바일 웹 페이지는 메인 화면의 컨텐트를 수평적인 페이지로 나누고 좌우 플리킹을 통해 네비게이션 할 수 있는 UI 를 선보였습니다. 3배 더 즐거운 모바일웹서핑! m.daum.net 이 또한번 변신합니다. 접근도 좋고 디바이스의 특징을 잘 살려보려는 시도도 좋지만 실제 써보면 오히려 불편합니다. 의도한대로 움직이지 않기도 해서 잘못 다른 링크가 클릭되기도 하고요. 좌우 페이지 플리킹과 상하 스크롤을 함께 사용하고 있기 때문인데요. 가급적 한쪽 방향으로만 스크롤을 제한하는것이 좋습니다. 인지적으로 헷갈리기도 하고 몸도 조작 방향을 바꾸는 것 보다는 그냥 한방향으로 쭉 스크롤 하는게 더 편하거든요. Allows people to make the fewest possible gestures to do w..
-
안드로이드 체크박스 디자인 fail
퀴즈. 아래 그림의 두번째 사각형 버튼은 무슨 의미일까요? 제가 아는 한 (기존 pc 사용 경험으로는) 저건 dimmed 체크(체크되었으나 사용자가 수정하지 못하도록 비활성화)된 상태입니다. 그런데 사실 저건 안드로이드에서는 그냥 체크가 안된 상태입니다. 체크 표시가 되어 있는데 왜 안되는거지? 이미 체크되어 있는데 뭘 더 어쩌란거지? 오랫동안 시행 착오를 거치고 나서 저게 언체크된 버튼이란걸 알았을때의 황당함과 그동안의 짜증을 기록에 남기기 위해서 블로깅합니다. 일관성(coherence)은 제품 내에서만 독자적으로 지켜지는것만으로는 부족하고 함께 사용되는 환경도 고려되어 져야 합니다. 안드로이드가 자폐증에 걸린것도 아니고 이미 통용되고 있는 디자인 언어를 자기만 다른 의미로 쓰고 있는건 문제가 있습니다..
-
아이튠즈 계정 생성 입력 폼 UI 실패
아이튠즈 계정을 만들어주다가 계속 실패했습니다. 암호 정하는걸 잘못 했다고 에러가 났는데, 처음에는 내가 실수 했거니 했는데 설명(요구사항)을 잘 읽고 따라해봐도 계속 다시하라고 해서 짜증이 나기 시작했습니다. 1. 암호 요구 사항을 잘 못 적어놓았습니다. 결국 포기하고 나중에 한국 아이튠즈로 들어가니까 대문자,소문자를 하나씩은 포함해야 한다고 나와있네요. 영어 설명에는 대소문자를 포함해야 한다는 말이 없습니다. 아놔. must have at least 8 characters, one number, one letter, and no spaces. 2. 에러 메세지의 주의 강조 방법이 잘못되었습니다. 다시 보니 상단 메시지에 암호에는 대문자가 하나 이상 있어야 한다고 적고 있습니다. 물론 보긴했지만 전 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