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sual Interface Design 3장

2010. 5. 19. 21:55스터디
알 수 없는 사용자


Gui 스터디 3장 스케일, 대비, 비례

05/06    

 

      임                  박          최           

 

 

: 책에서 나온 불충분한 대비가 과연 얼마나 불충분할 때 불충분한 것인가?

 

네이버 이미지 검색 카테고리 화면에서 이미지와 동영상을 중심으로 보여줘야 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톤이 어두운 무채색으로 변환되어서 중심 이미지와의 대비를 이룬다. 작은 버튼들도 같은 톤이지만 충분히 대비가 이루어져서 다른 메뉴들과 차별화를 이룬다.

 

이미지들은 충분한 대비로 명확하게 인지가 되지만 텍스트 정보들은 전체적으로 비슷한 톤을 이루어 가독성이 떨어진다.

 

포인트 컬러를 잘 써서 심심하지 않은 듯 하다.

 

: 포인트컬러가 너무 많아서 복잡한 느낌이 있다. 우리나라 웹사이트들의 성향이 전체적으로 그런듯무엇인가 열심히 디자인했다고 강조하는 느낌. 해외 사이트들과 성향이 다르다. 외국은 심플하고 단순한 느낌.

 

: 이번 네이버 개편은 개인적으로 망했다는 느낌너무 확 큰 변화를 줘서 정신없는 느낌 어디선가 본듯한 느낌이라 네이버의 정체성에서 실망을 했다.

 

: 자주보지 않는 영역에서도 정보가 너무 많은듯해서 복잡한 느낌이다. 왼쪽 영역을 활용한 역기억자 구조로 변하면서 너무 많은 정보를 보여주고 싶어하는 느낌이다.

 

하지만 디테일한 깔끔함은 네이버가 제일 좋은듯.. 전체적인 프레임웍이 문제다.


 

: 아이리버 디자인     아이리버의 GUI 아이덴티티는 전체적으로 비슷한 느낌이다. 화이트와 낮은 톤엔 매너로 아이리버만의 개성이 있다.

 


: 아이리버도 UI적으로는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고 컬러가 적은듯 하지만 상당히 많은 컬러를 사용했다. 아이리버의 디테일은 상당히 높은 수준이다.

 

예전 인터넷 폰도 아이리버 에서 나왔는데 같은 느낌이였다.

 

: 아이리버 gui디자인 스타일은 바이널에서 했는데 바이널만의 디자인 스타일과 개성이 느껴진다. 바이널의 디자인 스타일이 좋기는 하지만 모든 제품에서 같은 스타일과 개성이 느껴진다는 것은 좋은 것 같지 않다. 제품과 GUI가 완벽한 조화를 이루는 것 같지는 않다.

 

: 현업에서는 ui디자이너 gui디자이너 제품 디자이너가 각자 협업을 하기 쉽지 않은 구조와 현실 때문에 서로간의 커뮤니케이션이 쉽지 않아서 어려움이 있다.

 

: 일관적인 브랜드 경험을 잘 유지 하는 회사는 개인적으로 nhn 이라고 생각한다. 일관적인 브랜드 경험은 매우 훌륭한 가치이고 배워야 할 점인 것 같다.

 



: 그룹화에 대한 이미지
 

 

대비 계층적 인식화의 순서의 기준은 무엇이 가장 중요한 정보인가?

 

선택적 인식력 같은 크기와 형태라면 한 덩어리로 보이는 현상


 

순서적 인식력 면적이나 굵기 등을 통해서 눈에 띄는 순서가 다르다는 이론


 

운동감과 방향력  역동적인 구조로 시각적 긴장감을 준다


 

텍스트의 계층화  텍스트의 굵기나 색의 변화로 중요한 텍스트부터 순차적으로 인식이 되게 하는 방법

 

: 구성이론 구성의 원리
(
70-80-90 입시구성디자인으로 설명하는 조형원리 ^^;; 참조)

타이포 그라피와 입시구성이론 만으로도 조형의 원리의 기본은 마스터 할 수 있다.

 

: GUI는 즉시성이 있다. 정보 전달이 빠르게 이루어 져야 한다. 일반적인 그래픽 디자인은 보고 사색을 할 수 있기 때문에 GUI적인 디자인 관점과 같은 관점으로 보아서는 안된다.

 

: 실제 삼성 프로젝트 GUI작업을 리뷰



기존의 삼성 GUI스타일은 모든 정보를 다 명확하고 잘보이게 디자인하는 스타일이였지만 GUI적 관점에서는 중요한 정보와 그에 비해 덜 중요한 정보의 차이가 있기 마련이라 그에 따라 화면 디자인에서 각각 정보의 중요도에 따라 차등을 두어 디자인했다.


 

: 입시구성에 대한 예시.  디자인도 작곡과 같다.’ 음악처럼 디자인에서 리듬감이 느껴져야 한다. 입시구성의 전통적인 패턴이 있다. 물결 패턴 U패턴

GUI에서도 입시 구성 같은 패턴화, 모듈화 하는 방법론이 있지 않을까?

지금 우리가 공부하는 책을 보면 조형원리에 대한 원론적 이야기들이 담겨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