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xd story

pxd story

전체 글보기
  • pxd UX lab (1491)
    • UX 가벼운 이야기 (601)
    • GUI 가벼운 이야기 (153)
    • UX Engineer 이야기 (86)
    • AI 이야기 (11)
    • pxd AI툴 이야기 (8)
    • Blockchain UX 이야기 (71)
    • pxd talks (113)
    • Review | 컨퍼런스, 학회, 전시, 도서 (172)
    • pxd 다이어리 & 소소한 이야기 (201)
    • pxd 뉴스룸 (12)
    • Re-design! (33)
    • pxd 프로젝트 리뷰 (11)
    • inspiration movie (16)
    • (Private) 쓸거리 (0)
    • (Private) pxd idea (0)
  • 공지사항
  • 방명록
  • 태그
  • pxd Homepage
  • pxd Medium - Blockchain Story
  • pxd XE Group - FED
  • LeanUX Lab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글수정 관리

pxd story

컨텐츠 검색

태그

서비스 디자인 진로교육 해외교육 디자인 사고 프로젝트 방법 도서 Lean UX 컨퍼런스/세미나 심리학 산책 Persona 미디어 조사 방법 퍼소나 국내교육 전시와 작가 UI UX 리뷰 pxd Talks pxd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2018 pxd story 포스트 모음
  • 2017 pxd story 포스트 모음
  • 2016 pxd story 포스트 모음

아카이브

pxd talks(113)

  • 2012 pxd talks 09-22

    無異 ― 2012.12.30
  • [2012 pxd talks 14] 적정기술의 의미와 역사

    알 수 없는 사용자 ― 2012.12.28
  • [2012 pxd talks 13] Service eXperience Design

    알 수 없는 사용자 ― 2012.12.03
  • [2012 pxd talks 12] 현실과 상상의 경계 :: 이수지 작가의 그림책 이야기

    알 수 없는 사용자 ― 2012.11.16
  • [2012 pxd talks 11] 성공하는 제품 디자인을 위한 비밀 무기 (Secret weapon for successful product design)

    알 수 없는 사용자 ― 2012.10.18
  • [2012 pxd talks 10] 디자인 씽킹과 앙터프러너십 : 숨겨진 니즈와 지속가능한 솔루션을 찾는 통합 모델과 사례

    알 수 없는 사용자 ― 2012.09.27
  • [2012 pxd talks 09] Mindstorming

    알 수 없는 사용자 ― 2012.09.03
  • [2012 pxd talks 08] 효과적으로 전문가 인터뷰하기

    알 수 없는 사용자 ― 2012.07.11
  • [2012 pxd talks 07] Extreme Prototyping : Being Resourceful in Prototyping

    알 수 없는 사용자 ― 2012.06.22
  • [2012 pxd talks 06] 소셜미디어 진화 방향과 사회적 이슈

    알 수 없는 사용자 ― 2012.05.15
  • [2012 pxd talks 05] SMI 아이트래커 활용 방법 및 사례

    알 수 없는 사용자 ― 2012.04.02
  • [2012 pxd talks 04] UI 스터디 워크샵 후기 - 컨텍스추얼 인터뷰

    알 수 없는 사용자 ― 2012.04.02
2012 pxd talks 09-22

2012년 한 해 동안 pxd talks - Talk, Workshop & Coaching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2012 pxd talks 14] 적정기술의 의미와 역사 By Your beloved,2012/12/03 2012년의 마지막 pxd talks는 '적정기술의 의미와 역사'라는 주제로 한밭대학교 화학생명공학과 교수이자 적정기술 미래포럼 대표이신 홍성욱님을 모셨습니다. 개인적으로는 공학자의 입장에서의 적정기술을 말씀하시는 점이 인상 깊었는데요, 내용 일부를 블로깅을 통해 함께 나누려고 합니다. 더보기... [2012 pxd talks 13] Service eXperience Design By jun.ee,2012/11/16 지난 11/16일에는 Adaptive Path의 디자인 이사로 재직하고 ..

無異 2012. 12. 30. 13:41
[2012 pxd talks 14] 적정기술의 의미와 역사

2012년 2월에 pxd talks의 첫 시리즈를 시작한 뒤로 어느덧 2012년의 마지막 pxd talks 블로깅을 하게되었습니다. 2012년의 마지막 pxd talks는 '적정기술의 의미와 역사'라는 주제로 한밭대학교 화학생명공학과 교수이자 적정기술 미래포럼 대표이신 홍성욱님을 모셨습니다. 개인적으로는 공학자의 입장에서의 적정기술을 말씀하시는 점이 인상 깊었는데요, 내용 일부를 블로깅을 통해 함께 나누려고 합니다. 먼저 적정기술 미래포럼에 대한 간단한 소개를 하겠습니다. 현재 적정기술 미래포럼에서는, 정기포럼을 주최하고, 적정기술 아카데미 운영도 하고 있습니다. 또 문서 사역도 중요하게 생각해서 현재 '적정 기술이란 무엇인가', '인간 중심의 기술 적정 기술과의 만남'을 출간하였고 적정기술 논문집 발간..

알 수 없는 사용자 2012. 12. 28. 07:00
[2012 pxd talks 13] Service eXperience Design

지난 11/16일에는 Adaptive Path의 디자인 이사로 재직하고 계신 제민 헤게만(Jamin Hegeman)씨가 서비스 디자인에 대한 주제로 강의를 해주셨습니다. 서비스 디자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만큼 많은 직원 분들이 열의를 갖고 참석하였고, 강의 내내 집중해서 듣는 모습이었습니다. 강의는 다음과 같이 크게 2가지 세션으로 진행되었습니다. 1. Mapping the Journey + Service Blueprints 2. Pollinating Business Culture With SX 참고) 이후에 나오는 모든 이미지들은 다음의 링크에서 가져온 것임을 알립니다. http://www.slideshare.net/jaminhegeman 1. Mapping the Journey + Servi..

알 수 없는 사용자 2012. 12. 3. 07:30
[2012 pxd talks 12] 현실과 상상의 경계 :: 이수지 작가의 그림책 이야기

한 달에 한 번씩 명사분들의 경험과 좋은 생각을 들으며 공유하는 pxd talks. pxd인 뿐만 아니라 pxd talks에 참여하고자 하는 분들의 신청을 받아 외부 참여도 같이 진행하며 점점 뜻깊은 시간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2012년의 12번째 pxd talks시간은 특히 참여 열기가 뜨거웠습니다. 바로 국제적인 인지도의 이수지 그림책 작가님과 함께 했기 때문인데요. 이수지 작가님은 '책'이라는 매체에 대한 탁월한 이해에서 시작된 현실과 상상의 경계를 나타낸 그림책으로 매우 유명한 작가님입니다. 1. 그림책 작가 이수지 "저는 어린이에게도 어른에게도 각기 다르게 어필할 수 있는 다양한 층을 가진 책이 재미있는 책이라고 생각합니다." - 이수지 작가님의 말 중에서 부드럽고 따뜻한 목소리로 인사해주시며 ..

알 수 없는 사용자 2012. 11. 16. 07:41
[2012 pxd talks 11] 성공하는 제품 디자인을 위한 비밀 무기 (Secret weapon for successful product design)

지난 10월 11일에는 nhn에서 근무하시는 우상훈님께서 '성공하는 제품 디자인을 위한 비밀 무기'라는 주제로 강의를 해주셨습니다. 약 15년 간 프로그램 개발과 UI디자인을 모두 경험해보신 강사님의 이력답게 디자이너와 개발자가 어떻게 상생할 수 있는지와 디자이너의 전문성을 기르는 원칙에 대해서 깊이 있는 내용을 들을 수 있었습니다. 강의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되었습니다. 1. Understanding - 개발자를 이해하기 2. Turn the tables - 프로젝트에서 인터랙션 디자이너의 역할 3. Storyboard - 의사소통의 도구 1. Understanding 인터넷 유머 중에 디자이너가 엄청 혁신적인 제품의 컨셉을 보여주자 엔지니어가 '와 멋진데? 그거 원리가 뭐야?' 라고 물어보니, 디..

알 수 없는 사용자 2012. 10. 18. 08:50
[2012 pxd talks 10] 디자인 씽킹과 앙터프러너십 : 숨겨진 니즈와 지속가능한 솔루션을 찾는 통합 모델과 사례

지난 번 적정기술에 대한 포스팅에 생각보다 많은 분들의 관심과 반응으로 놀랐었는데요, 사내에서도 적정 기술 뿐만아니라 디자인으로써 사회 공헌의 역할에 대한 관심과 고민이 늘어가고 있습니다. 이번 pxd talks에서는 이런 배경으로 모시게 된 김정태님의 '디자인 씽킹과 앙터프러너십 : 숨겨진 니즈와 지속가능한 솔루션을 찾는 통합 모델과 사례'를 공유하려고 합니다. 내용은 다음과 같은 단계의 흐름을 가지고 진행되었습니다. 1. 나와 디자인 2. "디자인은 혁신이다" 디자인과 국제 이슈 3. 디자인 씽킹(Design Thinking)은 무엇을 위한 것? 4. 앙터프러너십(Entrepreneurship)은 무엇을 위한 것? 5. 디자인씽킹(design thinking)과 앙터프러너십(entrepreneursh..

알 수 없는 사용자 2012. 9. 27. 17:07
[2012 pxd talks 09] Mindstorming

지난 8월 16일, 23일 4시간씩 이틀에 걸쳐 마인드스토밍 전문가 이유진님의 워크샵이 있었습니다. 요즘 아이데이션 워크샵을 프로젝트에 활용하는 사례들이 점점 늘다보니, 사내에서 워크샵의 기획과 진행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계신 분들이 많습니다. 이런 분들과 함께 이유진님의 퍼실리테이팅 노하우와 마인드스토밍 과정에서 활용하고 계신 방법들을 듣고, 경험해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Mindstorming?! "서로 다른 분야의 다양한 사람들이 서로의 지식과 경험을 공유하고, 상호연결하여 새로운 아이디어를 만들어 가는 것이 중요하다. 그래서 Mindstorming를 통해 쉽게 오픈마인드로 참여할 수 있게 분위기를 만들고 서로의 생각을 꺼내놓을 수 있는 장을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 - Mindstorming 워크..

알 수 없는 사용자 2012. 9. 3. 08:30
[2012 pxd talks 08] 효과적으로 전문가 인터뷰하기

요즘 pxd에서는 미래 트랜드를 예측하기 위한 전문가 인터뷰를 하고 있는데요, 전문가의 전문성을 좀 더 효과적이고 빠르게 추출하기 위해 지난 7월 3일 애자일 컨설팅 대표 김창준님께 '효과적으로 전문가 인터뷰하기' 코칭을 받았습니다. 코칭 전반의 진행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우선, 기 전문가 인터뷰에서 10개의 질문(정보를 비교적 잘 얻었다고 생각되는 질문 5개, 정보를 비교적 잘 못 얻었다고(비효과적이었다고) 생각되는 질문 5개)을 샘플링합니다. 코칭 시간에는, 1. 10개의 질문 전체에서 어떤 패턴이 있는지, 비슷한 점, 차이점은 뭔지 논의 2. 각 질문 하나하나를 보면서 각자 관찰한 것을 공유 3. 즉흥 연기로 해당 질문과 답변을 비슷하게 재연 4. 느낀 점 공유 5. 김창준님께서 몇 가지 문제의..

알 수 없는 사용자 2012. 7. 11. 14:03
[2012 pxd talks 07] Extreme Prototyping : Being Resourceful in Prototyping

지난 6월 12일, 2012년 세 번째 pxd workshop이 "Extreme Prototyping: Being Resourceful in Prototyping"이란 제목으로 애자일 컨설팅 대표 김창준님에 의해 진행되었습니다. 1시간 30분 정도의 강의와 30분 정도의 조별 실습으로 이루어진 이날 워크샵은 프로토타이핑을 제품 개발 뿐만 아니라 인생에까지 적용할 수 있는 의미있는 강의였습니다. 우선 김창준님은, '프로토타이핑'이란 말을 매우 광범위하게 해석한다고 합니다. 개발 과정에서 무엇을 먼저 만들어 보는 것 뿐만아니라, 살면서 머리속으로 시뮬레이션 해 보는 것 등 문제를 풀기 위해 해 보는 모든 작은 시도들을 프로토타이핑으로 본다는 것이죠. 문제를 해결할 때는 너무 추상적인 개괄에서 구체적인 해법으..

알 수 없는 사용자 2012. 6. 22. 09:16
[2012 pxd talks 06] 소셜미디어 진화 방향과 사회적 이슈

5월 7일 pxd에서는 소셜컴퓨팅연구소 대표이신 한상기 박사님의 강의가 있었습니다. 강의 주제는 "소셜미디어 진화 방향과 사회적 이슈"였는데요, 이 분야에 대한 오랜 연구와 경험을 바탕으로 깊이있는 내용을 들을 수 있던 시간이었습니다. 싸이월드를 필두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등의 다양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현황, 각 소셜 미디어의 데이터 수집과 활용의 내용으로 강의가 진행 되었습니다. 다양한 SNS의 발달로 새롭게 정의되고 고민되는 논제들도 있었는데, 간략하게, 관계 맺기의 다양성 (Friending, Following, Subscribing, Circle...) 각 소셜미디어에서의 아이덴티티 매니징 인터넷 자경주의 데이터의 중요성 vs. 프라이버시 인권 vs. 표현의 자유 정도로 소개해 드..

알 수 없는 사용자 2012. 5. 15. 11:31
[2012 pxd talks 05] SMI 아이트래커 활용 방법 및 사례

3월 30일 pxd에서는 SMI 아이 트래커(Eye Tracker) 활용 방법 및 사례에 대한 강의가 있었습니다. 아이 트래킹은 사용자 조사 등의 리서치 단계에서 활용되는 것 중 하나로, 사람의 눈동자 움직임을 지속적으로 관찰하여 자극에 대한 반응과 정보 습득 결과를 연구하는 방법입니다. 아이트래커 장비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작동 원리와 기본적인 용어들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이번 강의에서는 그러한 부분들을 중심으로 내용을 전달해 주셨습니다. pxd에서도 프로젝트에 따라 아이트래커 장비가 이용되기도 하기 때문에, 이번 강의가 아이트래킹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참고 - 2012 pxd talks - Talk, Workshop & Coaching] 2012/12/03[201..

알 수 없는 사용자 2012. 4. 2. 17:04
[2012 pxd talks 04] UI 스터디 워크샵 후기 - 컨텍스추얼 인터뷰

pxd에서는 매주 수요일마다 사내 UI 스터디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올해 상반기에는 총 3권의 책에 대한 스터디가 계획되어 있습니다. 그 중 3월 한달간 공부했던 책, '컨텍스트를 생각하는 디자인'에서 배운 내용을 실제로 경험해 볼 수 있는 사내 워크샵 시간을 가졌습니다. 워크샵 일정은 책의 3~6장에 해당하는 내용에 따라 순서대로 진행하였습니다.3장 : 컨텍스추얼 인터뷰 계획하기 4장 : 컨텍스추얼 인터뷰 하기 5장 : 컨텍스추얼 인터뷰 해석 세션 6장 : 업무 모델링 4명씩 총 4팀으로 구성하여 주제당 2팀씩 할당한 후 워크샵을 진행하였으며, 주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사내 프로젝트룸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2. UI팀/GUX센터간의 협업 방식 및 형태 개선하기약 5시간동안 점심식사도 걸러가며 열심히..

알 수 없는 사용자 2012. 4. 2. 08:00
1 ··· 6 7 8 9 10
pxd story pxd, inc. pxd 오시는 길 XE Group UX Tech Lab.
©2025 pxd, inc.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